[기획] 건설업 옥죄는 PF 사태, 부실 대응이 위기 키운다(上)
미착공·브릿지론 단계 사업에 4대 시중은행 참여 매우 이례적
롯데건설 “은행과 기업 모두 ‘윈윈’...의혹 나오는 것 의아해
전문가 “상식적으로 봤을 때 정부의 강력한 협조 요청 있었을 것”
최근 롯데건설이 이례적으로 미착공·브릿지론(시공·인허가 전 자금 조달) 단계인 사업에 주요 시중은행과 증권사 참여로 2조3000억원대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펀드 조성에 성공했다. 앞서 PF 차환 만기 연장에 실패해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에 돌입한 태영건설 사태와 직접적으로 비교되며 의문을 키우고 있다.
◇ 같은 상황 다른 결과
1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롯데건설은 지난 7일 KB국민·신한·우리·하나 등 4대 시중은행과 한국산업은행, 증권사 3곳, 롯데계열사 등이 참여하는 2조3000억원 규모의 PF 유동화증권 매입 펀드를 조성하는데 성공했다.
롯데건설은 이번 펀드의 규모가 은행(선순위) 1조2000억원, 증권사(중순위) 4000억원, 롯데그룹사(후순위) 7000억원 등 총 2조3000억원이라고 밝혔다. 이번 펀드는 롯데건설이 그동안 추진해 온 미착공 PF 사업장을 지원하는 데 쓰이며 만기는 2027년 3월까지로 3년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롯데건설 우발채무 중 만기를 연장해야 하는 금액은 2조4000억원 규모로, 이번 펀드 조성에 따라 대부분을 차환할 수 있게 됐다. 조달금리는 선순위 8.5%, 중순위 8.8% 등으로 기존 메리츠금융 펀드 대비 금리가 3∼4%포인트(p) 낮다.
앞서 롯데건설은 지난해 1월 메리츠금융과 1조5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공동 조성했다. 당시 메리츠금융이 선순위로 9000억원을 부담했는데 롯데건설은 연 12%대(수수료 포함) 금리로 자금을 조달했다. 롯데건설 입장에선 이번 2조3000억원대 펀드 조성에 성공함으로써 그동안 자금난의 원인이 된 PF를 금리까지 낮추며 만기를 연장했다는 점에서 한숨 덜었다는 평가다.
문제는 이번 PF 성공이 아주 이례적인 사례라는 것이다. 금융권에서는 안정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추구하는 4대 시중은행이 미착공·브릿지론 단계인 건설사업 PF 펀드 조성에 참여한 것은 거의 사례를 찾아 볼 수 없는 극히 드문 케이스로 보고 있다.
◇ 4대 시중은행 참여에 각종 의혹 제기
특히 최근 비슷한 상황에서 워크아웃을 신청한 태영건설과 롯데건설이 비교되고 있다. 태영건설은 지난해 12월 서울 성동구 성수동 오피스 개발 사업과 관련된 480억원 규모의 PF 채무를 막지 못해 워크아웃을 신청해 지난달 우여곡절 끝에 성사됐다. 태영건설이 도급순위 16위의 중견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사태에 있어 4대 시중은행의 개입은 없었다.
이에 롯데건설의 이례적 PF 펀드 조성 성공에 외부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의구심까지 나오고 있다. 롯데그룹이 재계순위 6위의 대기업 집단이기 때문에 태영그룹에 비해 계열사 보증 등 상대적으로 안전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주거래 은행 뿐만이 아니라 롯데건설과 딱히 관계도 없고 안전성 위주로 투자를 하는 4대 시중은행이 향후 몇년간 부동산 경기 전망이 불투명함에도 불구하고 이례적으로 모두 참여했다는 점에서 외부 요인에 따른 메커니즘이 작용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오는 4월 총선을 앞두고 건설업계 줄부도 사태를 막기 위해 대통령실 주도로 금융권을 압박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건설업계에서 사업 규모를 키워놓고 나라에서 해결해주는 것이 관행으로 자리 잡으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가 경제 전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만약 정치적인 이유로 위기를 '지연'시켜 리스크를 누적시킬 경우 대형 사고로 번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한문도 서울디지털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는 “과거 메리츠금융 또한 사업성을 검토한 후 금리를 책정했을 것인데, 높은 금리는 그만큼 리스크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4대 시중은행은 통상적으로 리스크가 높은 사업에 투자하지 않는데 건설업계가 좋지 않은 상황에 참여한다는 점이 의아하다"고 말했다. 한 교수는 이어 “상식적으로 봤을 때 금융권이 이처럼 움직이는 데에는 정부의 강력한 협조요청이 있었을 것으로 보여진다"고 지적했다.
롯데건설 측은 “아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펀드의 금액 자체가 커서 그렇지 브릿지론 단계에 제1금융권이 참여한 선례가 있다. 또 이번 투자로 인해 금융권에서 벌어갈 금액과 (롯데건설이 부담해 온 기존 대출의) 금리 차이를 생각했을 때 서로 윈윈하는 사업"이라며 “시중 금리로 참여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혀 부정적으로 볼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