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오션, 드론·AI 활용 선박 흘수 계측 시스템 개발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2.20 09:30

작업 인원·시간 단축…전 선종 대상 100회 이상 실험 통해 정확성 검증·스마트야드 구축 목표

한화오션

▲한화오션이 개발한 드론 흘수 촬영 개념도

한화오션은 드론과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선박의 흘수를 촬영하고 측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한화오션에 따르면 이 시스템을 적용하면 실시간으로 선박 무게와 뒤틀림 등의 계측 작업을 할 수 있다.


기존 3~4명이 필요했던 작업을 1명이 수행 가능한 것도 강점이다. 계측 시간도 2시간에서 30분 이하로 줄어든다.



흘수는 선박이 물 위에 떠 있을때 선체가 가라앉는 깊이다. 적재 화물이 늘어나면 흘수가 깊어져 침목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한계 적재량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선소들은 그간 보트를 이용해 선박 주변 6개 지점을 돌아가며 흘수를 계측했다. 드론 계측 시스템은 안전성도 높일 수 있다.




한화오션은 모든 선종에 대해 100회 이상의 실험으로 정확성을 검증했다고 설명했다.


상반기 내에 이 기술에 대한 선급 인증을 받고 실제 선박에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국내 특허는 출원이 완료됐고, 해외 특허 신청도 진행하고 있다.


드론과 AI 기술을 접목한 이같은 시스템을 선박 건조의 다양한 분야에 확대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한화오션 관계자는 “로봇 및 자동화로 생산성을 높이고 안전성을 제고할 것"이라며 “조선소 전체를 빅데이터 기반의 거대한 스마트 야드로 전환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압도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