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
주요 은행 가계대출이 지난달 7000억원 늘어나 8개월 만 가장 작은 규모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경기가 여전히 얼어붙은 와중에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슬금슬금 올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으로 대출 한도까지 줄어들면서 금융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대출 문턱은 계속 높아지고 있다.
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28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96조371억원으로 지난 1월 말(695조3143억원)보다 7228억원 늘었다. 29일 수치는 빠졌다.
가계 대출은 지난해 5월 이후 10개월 연속 증가세지만 월간 증가 폭은 1월(2조9049억원)보다 축소됐으며 지난해 6월(6332억원)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작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둔화했다.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2조1744억원(534조3251억원→536조4995억원) 늘었다. 증가 폭이 지난 1월(4조4329억원)의 절반 수준이다.
신용대출 역시 1조954억원 줄어들면서, 4개월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고금리 속 부동산 경기 부진이 이어지면서 대출 수요가 위축된 영향으로 보인다. 주요 은행이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인위적으로 대출금리를 올린 탓에 당분간 가계대출 증가세는 주춤할 것으로 보인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19일부터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 금리를 각각 0.05∼0.20%포인트(p) 인상했다.
우리은행은 지난달 28일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상품별로 0.10∼0.30%p, 국민은행도 지난달 29일 비대면 주담대 혼합형 상품 금리를 0.04%p 올렸다.
일부 은행이 대출 금리를 인위적으로 올리면서, 실제로 최근 은행권 대출금리는 지표금리보다 더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지난달 29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연 3.450∼5.840%로 집계됐다.
한 달 전인 1월 31일(연 3.300∼5.785%)과 비교해 하단이 0.150%p 오른 셈인데, 같은 기간 혼합형 금리의 지표금리인 은행채 5년물 금리 상승 폭(+0.096%p)보다 컸다.
4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취급액 코픽스 연동·연 4.110∼7.034%) 한 달 전(연 4.000∼6.653%)과 비교해 상단과 하단이 각 0.381%p, 0.110%p 높아졌다.
같은 기간 변동금리 대출의 주요 지표금리인 코픽스(COFIX) 금리가 0.18%p 하락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은행들의 금리 인상 폭이 지표금리 하락 폭보다 컸다는 뜻이다.
이런 와중에 은행권에서 지난주부터 스트레스 DSR도 적용됐다.
은행권은 지난달 26일부터 일제히 새로 취급하는 주택담보(오피스텔 포함) 가계대출의 DSR을 '스트레스 금리' 기준으로 산출한다.
DSR은 대출받는 사람의 전체 금융부채 원리금 부담이 소득과 비교해 어느 정도 수준인지 가늠하기 위한 지표로, 해당 대출자가 한해 갚아야 하는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은행권의 경우 대출자의 DSR이 40%를 넘지 않는 한도 안에서만 대출을 내줄 수 있다.
'스트레스 DSR' 체계에서는 실제 금리에 향후 잠재적 인상 폭까지 더한 더 높은 금리(스트레스 금리)를 기준으로 DSR을 따지게 되는데, 이 때문에 대출 한도가 줄어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