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시장 침체에도 신축은 ‘훨훨’…“최대 6억 뛰었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3.04 15:06

고분양가 논란 신축서 신고가 행진 이어져

전문가 “신축 선호 현상 앞으로도 이어질 것"

.

▲서울 강동구 둔촌동 '둔촌주공'(올림픽파크포레온) 공사 현장 전경. 연합뉴스

부동산시장 침체기임에도 불구하고 신축 아파트의 가격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다. 주택 공급 물량 감소 및 공사비 급등 등에 따라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어서 무주택 실수요자들의 어깨를 더 무겁게하고 있다.




◇ 시장 침체에도 신축은 '훨훨'


4일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서울 강동구 둔촌동 '둔촌주공'(올림픽파크포레온) 전용면적 95㎡ 입주권은 지난 1월 13일 21억8931만원에 거래되면서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동일면적 직전 거래 가격은 19억8420만원이었다.



올림픽파크포레온 전용면적 59㎡ 또한 지난해 12월 29일 16억4333만원에 계약을 체결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국민평형'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16일 19억1132만원에 팔렸다. 최초 분양가가 △전용 59㎡ 9억7940만~10억6250만원 △84㎡ 12억3600만~13억2040만원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입주 전에 6억원 가까이 값이 뛴 것이다.


비슷한 시기 분양한 서울 마포구 아현동 '마포더클래시' 전용면적 59㎡는 지난 1월 17일 13억7000만원 신고가를 기록했다. 2022년 12월 1순위 청약에서 53가구를 일반분양해 평균 19.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마포더클래시는 분양 물량의 절반 이상인 27가구가 미계약되며 무순위 청약을 진행한 바 있다. 마포더클래시 전용 59㎡ 분양가는 10억원대였다.




최근 무순위 청약에 100만명 이상이 몰렸던 서울 강남구 개포동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 전용면적 84㎡ 도 지난 1월 22일 30억1198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2020년 4월 일반분양 당시 최초 분양가는 전용 84㎡ 기준 21억9238만원으로 입주권은 지난해 7월까지만 해도 25억원 수준이었다.


◇ 신축 선호 현상 당분간 지속된다




이처럼 주택시장 하락세에도 신축 아파트 단지 가격이 상승곡선을 그리는 것은 우선 계속되는 분양가 상승 때문이다. 최근 시장에서는 아파트를 짓는 기본 원자재인 시멘트, 철근 등의 가격이 꾸준한 오름세를 보이면서 분양가 상승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기본형건축비 인상은 지난해에만 세번 올랐으며, 재작년 역시 세 차례가 인상된 바 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 1월 전국 아파트 3.3㎡(평)당 평균 분양가는 1987만원으로, 전년 동월 분양가격 1718만원 대비 약 15.66%(269만원) 증가했다.


또 최근 분양가 상한제(분상제) 주택에 대한 실거주 의무가 3년 유예되는 개정안이 확정되고, 당분간 신축 아파트 공급 물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러한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실제 부동산시장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음에도 신축 아파트 가격은 강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준공 시기별 아파트 매매가격 지수(2021년 6월 100 기준)에 따르면, 서울 준공 5년 이내 신축 아파트 관련 지수는 1년 전 93.9에서 현재 94.5로 상승했다. 반면 20년 이상된 구축 아파트는 94.5에서 93.3으로 하락했다. 전체 시장이 침체기에도 신축은 상승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강동구 둔촌동 A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분양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앞으로 공급 물량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면서 신축 아파트에 대한 문의가 확실히 늘었다"며 “수요자들 사이에 신축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늘어나면서 찾는 사람이 더 많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신축 아파트 강세가 한동안 이어질 이라고 보고 있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은 “수요자들의 소득 수준 및 삶의 질에 대한 향상을 고려했을 때 신축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는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구축에 비해 전세가율 또한 높아 시장 침체기에 가격 방어가 용의하고 건축비 급등으로 가격이 합리적으로 느껴지는 것 또한 인기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현재 비싸더라도 입지가 좋은 신축은 매물조차 드문 상황"이라며 “주택시장 분위기 및 재건축·재개발 상황을 고려하면 신축 선호 현상은 앞으로도 심화되고, 특히 입지경쟁력이 있는 지역 위주로 신축 강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다니엘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