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강국에서 해체 강국으로…글로벌 경쟁력 키운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3.13 15:36

[기획] K원전 르네상스 온다(하)

전 세계 영구정지 원전 해체율 10%...해체 경험국 4개

국내 건설사, 500조원 평가받는 원전해체시장 진출 총력전

전문가 “글로벌 원전해체시장 기다려야...우리나라에는 기회"

.

▲고리원전 1호기 전경. 연합뉴스

에너지 안보 및 기후변화 방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한다는 목표 아래 원자력발전이 전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K원전은 확실한 건설 실적과 기술·가격 경쟁력을 갖춰 세계 각국의 신규 원전 공사 발주에서 선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중 원전해체산업은 블루오션으로 떠오르며 K원전의 세계화를 위한 발판으로 평가받고 있다.




◇ 글로벌 원전해체산업 현황

13일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이달 기준 전 세계에서 운영 중인 원자력 발전소는 총 414기로, 이 중 건설 중인 원전은 57기이다.


현재 해체를 목적으로 영구정지된 원전은 전 세계에 209기나 된다. 이 가운데 약 10%인 21기만이 완전히 해체됐다. 1956년 세계 최초로 상업용 원전을 가동한 영국은 이미 36개나 되는 원전의 가동을 멈춘 상태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월성원전 1호기가 고리원전 1호기에 이어 국내 두 번째로 영구 운전 정지 처분이 내려졌다. 원전의 가동 수명은 통상 30년 수준으로 설계되는데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2050년까지 총 588기의 원전이 영구정지 대상이라고 보고 있다. 현재 원전해체시장 규모는 500조원 이상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이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원전 업계에선 신규 원전 건설 만큼이나 기존 원전 해체도 중요한 사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원전해체는 운전 과정에서 생성된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게 급선무다. 해체 과정에서 발생한 방사성 폐기물까지 안전하게 처리해 발전소 건설 이전의 깨끗한 자연환경으로 되돌리는 것도 필요하다. 건설의 역순으로 불리는 만큼 복잡한 작업이다.


원전해체사업은 방사성 물질에 노출된 시설에 대해 엄격한 법적기준을 제시하기 때문에 일반시설과 같은 방법으로는 해체가 불가능하다. 특히 원자력발전소의 경우 해체 과정에서 다량의 방사성 폐기물이 일시에 발생하고 관계 법령 및 시설, 장비 제한 등으로 인해 대규모 처리가 어렵다. 때문에 원전해체는 일반 시설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긴 시간 및 기술력을 필요로 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동 중인 원전의 68%(282기)는 30년 이상 운영된 원전이며, 40년 이상 된 노후 원전도 40%(165기)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원자력발전소와 별개로 핵연료 주기 시설과 연구용 원자로까지 감안한다면 해체사업은 앞으로 원전 건설 못지않게 중요도가 높아질 것으로 보여진다.


◇ K원전해체산업 성장 가능성은?

전 세계에서 원전해체 경험이 있는 나라는 4개국(미국·일본·독일·스위스)에 불과하다. 원전 관련 기술력이 뛰어나다고 평가받는 K원전이 향후 원전해체 시장에서도 제 몫을 찾을 수 있다는 의미다. 국내 건설사들도 이러한 상황을 인지하고 원전해체시장 진출 준비에 열을 올리고 있다.




현대건설은 2022년 미국 원자력 전문기업인 홀텍과 인디안포인트 원전해체사업의 PM(건설사업관리) 계약을 포함한 원전해체 협력계약을 체결하고 미국 원전해체시장에 진출했다. 대우건설은 2018년 국내 해체종합설계사인 한국전력기술과 국내외 해체사업 협력 양해각서(MOU)를, 2020년 해외 원전해체 실적사인 오라노와 각각 MOU를 체결했다. 또 국내 최초로 월성1호기 해체공사 및 공정설계 용역도 수행하고 있다. 현재 원전해체시장은 노후 원전을 대거 보유한 미국‧독일 등 일부 국가를 중심으로 형성돼 있으나, 2030년 이후부터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글로벌 경쟁 체제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김창규 두산에너빌리티 원전해체기술개발 수석은 “원전 해체 시장을 선점하려면 국내 업체들이 경험과 노하우, 기술을 축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한국수력원자력을 비롯한 관련 기관들이 같이 노력해야 한다"고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건설이 핵심 과제라고 지적도 있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우리나라의 원전해체 기술력이 미국에 비해선 떨어지지만 과거 연구로 해체 경험이 있고 나름대로 강점이 있어 경쟁력은 있다"면서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경험인데 이를 쌓으려면 여야 간 합의를 통해 고준위 폐기물 처분에 관한 특별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다니엘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