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세계적 수준으로 만든 ‘국가 AI 데이터센터’ 가보니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3.25 09:00

지난해 10월 문 연 ‘국가 AI 데이터센터’…AI 연구에 ‘최적화’

국가 AI 데이터센터.

▲광주광역시 첨단3지구에 위치한 '국가 AI 데이터센터' 외관.


“인공지능(AI) 개발의 핵심은 그래픽처리장치(GPU)에 대한 리소스를 확보하느냐, 하지 못하느냐입니다. NHN클라우드가 구축한 국내 최대 수준의 '멀티 AI GPU 팜'은 국가 AI 경쟁력의 핵심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




김동훈 NHN클라우드 대표는 지난 21일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지난해 문을 연 '국가 AI 데이터센터'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국가 AI 데이터센터'는 NHN클라우드가 광주광역시 첨단3지구 AI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내에 구축한 데이터센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광주광역시가 추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해 11월부터 정식 운영에 돌입했다.


'국가 AI 데이터센터'는 기업, 연구기관, 대학 등에 AI 연구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컴퓨팅 연산능력 88.5페타플롭스(PF), 저장 용량 107페타베이트(PB) 규모의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규모 면에서는 글로벌 상위권 수준의 초고사양 데이터센터라 할 수 있다. 특히 아시아 최초로 엔비디아(NVIDIA)의 초고성능 AI전용 GPU인 'H100'을 1000여대를 도입해 AI에 최적화된 글로벌 스케일 인프라라는 평가를 받는다.



'국가 AI 데이터센터'의 설계와 구축, 운영을 맡은 NHN클라우드는 이날 기자들에게 데이터센터 내부의 주요 시설을 공개했다. 전체 상황을 관리하는 관제 센터부터 '귀하디귀한' GPU가 자리한 전산실, 또 찬바람을 공급하며 데이터센터의 열기를 식힐 항온항습실 등을 볼 수 있었다. 또 냉기를 오래 가져갈 수 있도록 설계된 높은 층고도 인상적이었다.


윤용수 NHN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엔지니어링실 기술리더(이사)는 “AI 데이터센터는 모든 것이 GPU 중심"이라며 “GPU를 가동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량과 풍량이 30~50배까지 늘어나기 때문에 일반적인 데이터센터 설계 방법으로는 구축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AI 데이터센터의 핵심은 '랙 당 전력밀도'인데, 국내 데이터센터 랙 당 전력밀도가 평균 4.8kw 정도라면, 우리는 15kw를 도입했다"며 “건축, 전기, 공조, 설비 등 모든 영역을 GPU에 맞춰 설계했다고 보면 된다"고 덧붙였다.




데이터센터의 열기를 식히기 위해 흔히 '외기(外氣)'를 직접 도입했다면, 국가 AI 데이터센터는 외기 대신 '프리 쿨링(free cooling)' 시스템을 썼다. 바깥 온도가 낮을 때 냉수를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여기에 외기를 간접적으로 더하는 형태다.


윤 리더는 “데이터센터 인근 20~30배 넘는 면적이 앞으로도 산업융합 집적단지로 개발될 예정이다 보니, 외기를 직접 이용하기에는 리스크가 있었다"며 “목표 전력효율지수(PUE)는 1.3 정도"라고 설명했다.




NHN클라우드는 국가 AI 데이터센터 운영으로 내년부터 본격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 대표는 “일정 물량은 정부가 구매해 민간 기업에게 지원하는 형태로 운영하는데, 내년부터는 NHN클라우드가 판매 가능한 구조가 된다"며 “현 시점에서 판단할 때 연 500억원 이상의 수익이 가능할 것 같다"고 전했다.


국가 AI 데이터센터 종합운영실.

▲국가 AI 데이터센터 종합운영실.


AI 데이터센터

▲국가 AI 데이터센터 전산실.


국가 AI 데이터센터

▲국가 AI 데이터센터 밋미룸.


수배전실

▲국가 AI 데이터센터의 수배전실.


공조장치.

▲국가 AI 데이터센터의공조장치.


정희순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