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스라엘 전시내각(사진=AFP/연합)
이란의 공습을 받은 이스라엘이 '고통스러운 보복'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신흥국 통화가치가 3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추락했다.
이스라엘 채널12 방송은 15일(현지시간) 전시 내각에서 다수의 보복 방식이 논의되고 있다면서 이 선택지는 모두 역내 전쟁을 촉발하지 않으면서 이란에는 고통스러운 방식이라고 전했다.
또 전시내각은 이 가운데서도 미국 등 동맹이 반대하지 않는 방식을 선택하려 한다고 방송은 덧붙였다.
다만, 전시내각은 이란이 실행한 수위의 공격을 이스라엘이 묵인하지 않는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분명하고 강력한 대응을 하기로 했다고 방송은 부연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도 보복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성명에서 “국제 사회는 세계평화를 위협하는 이란의 이번 공격에 저항하기 위해 반드시 뭉쳐야 한다"며 이란 보복에 대한 국제 사회의 지지를 촉구하기도 했다.
이처럼 이스라엘이 이란의 공격에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재차 강조하면서 위험회피 심리가 확산하고 있다. 달러는 대표적인 안전자산이다.
이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서두르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된 점도 신흥국 통화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이날 미국의 3월 소매 판매지수가 전월 대비 0.7% 늘어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증가세를 보였다.
신흥국 중에서도 남미지역 국가들의 통화가치 하락이 두드러졌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이 이전보다 소극적인 2025년 재정 목표를 제시하면서 브라질 헤알화가 1년여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고 콜롬비아 페소화 역시 큰 폭 하락했다.
냇웨스트마켓의 신흥국 시장 책임자 알바로 비반코는 “이번 재정 목표 수정으로 룰라 행정부에 대한 기대치가 달라졌다. 저성장을 예상할 수 있는 것으로, 통화가치에도 반영되지 않았다. 부정적인 소식이다"라고 평가했다.
멕시코 페소화 역시 헤지펀드들의 매수세에도 불구하고 위험회피 심리가 작용하면서 약세를 보였다.
한국 원/달러 환율도 1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17개월 만에 1400원선까지 올라섰다. 원/달러 환율이 장 중 1400원대에 들어선 것은 2022년 11월 7일(1413.5원) 이후 약 17개월 만이다.
신흥국 주가지수도 약세를 면치 못했다.
미국 최대 규모의 개발도상국 주식 상장지수펀드(ETF)인 뱅가드 FTSE 이머징 마켓은 이틀 연속 하락세로 마감했다. 라틴 아메리카 주식 지수는 11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고 신흥국 지수도 3일 연속 하락했다.
오펜하이머 앤 코의 페르난도 로사다 상무는 “이스라엘의 실제 군사 대응이 이뤄진다면 유가가 오르고 위험 자산에 대한 포지션 축소 경향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