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비 깜짝 반등했지만…생산·투자 둔화에 부동산 침체는 ‘여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6.17 13:59
CHINA-ECONOMY-POLITICS

▲중국 상하이(사진=AFP/연합)

중국 5월 소매 판매가 예상치를 웃돌면서 크게 회복했지만 생산과 투자 지표는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중국 부동산 가격 하락폭은 더 커진 것으로 집계되는 등 경제 회복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17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5월 소매 판매는 3조9211억위안(약 744조5700억원)으로 전년 동월에 비해 3.7% 증가했다. 이는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3.0%는 물론 전달(2.3%)과 3월(3.1%) 증가율을 웃도는 수치이기도 하다.


다만 1∼2월(5.5%)에 비해서는 다소 둔화했다.



소매 판매는 백화점, 편의점 등 다양한 유형의 소매점 판매 수치로 내수 경기 가늠자다.


1∼5월 전체 소매 판매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4.1% 증가했다.




5월 소비가 시장 전망치보다 다소 호조를 보인 것은 중국 정부가 내놓은 소비 진작책 등 각종 부양책과 노동절 연휴(1∼5일) 효과 등에 기인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5월 산업생산은 예상보다 부진했다. 5월 산업생산은 5.6% 늘어 블룸버그 전망치(6.2%)에 못 미친 것은 물론 전달(6.7%)에 비해서도 증가 폭이 둔화했다.


분야별로 보면 3D프린터 설비 36.3%, 신에너지차 33.6%, 집적회로(반도체) 17.3% 등 미국과 서방이 과잉생산을 주장해 온 첨단기술 분야가 증가세를 견인했다.


1∼5월 전체로 보면 산업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6.2% 늘었다.


중국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5월 들어 석 달 만에 50 이하로 떨어져 '경기수축' 국면으로 돌아섰다.


농촌을 뺀 공장, 도로, 전력망, 부동산 등에 대한 자본 투자 변화를 보여주는 1∼5월 고정자산투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 늘었다.


CHINA-ECONOMY-POLITICS

▲중국 톈진의 한 주거단지(사진=AFP/연합)

다만 이 가운데 부동산 개발 투자는 10.1% 하락해 부동산 경기 침체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소시에테 제네랄의 미셸 램 이코노미스트는 5월 소비 회복에도 전반적으론 회복이 부진한 편이라며 “소비 회복 모멘텀이 지속가능한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가통계국도 성명을 통해 5월 지표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성명은 무역 역풍이 중국 경제가 직면한 여러 문제 중 하나라며 “대외 환경은 복잡하고 엄중하고 내수는 여전히 부족하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중국의 5월 주택 가격은 더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통계국이 이날 별도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5월 70대 주요 도시 신규(신축) 주택 가격은 전월 대비 0.7% 떨어져 지난 4월 하락률(0.6%)을 밑돌았고 11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또 기존 주택 가격의 가치는 1% 하락했는데 이는 집계가 시작된 2011년 이후 최대 낙폭이라고 블룸버그는 짚었다.


블룸버그는 지난달 중국이 광범위한 '부동산 살리기' 대책을 내놓았음에도 수요 회복에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CGS 인터내셔널증권의 레이먼드 청 부동산 리서치 총괄은 “예상보다 둔화된 주택가격은 각종 대책이 매수자들의 자신감을 회복시키기엔 역부족임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로이터통신은 “중국은 부동산 침체와 높은 지방정부 부채, 디플레이션 우려 등 여전히 경제활동에 걸림돌이 많다"면서 최근 통계는 분야 별로 고르지 않은 성장을 나타내고 있어 더 적극적인 재정 통화정책을 요구하는 목소리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5월 실업률은 5.0%로 전달과 같았지만 1∼5월 전체로 보면 5.1%를 기록했다.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0.3% 상승했지만 1∼5월 CPI는 0.1% 오르는 데 그쳤다.


소비자물가는 넉 달 연속으로 상승했지만 디플레이션(deflation·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우려는 완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5월 수출입 규모는 위안화 기준으로 전년 동기대비 8.6% 늘었다. 수출이 11.2% 급증했지만, 수입은 5.2% 증가에 그쳤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