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전기차 관세 폭탄’에 보복 앞둔 中...어떤 카드로 맞대응 나설까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6.20 10:54
FILES-CHINA-EU-EVS-TRADE-CARS

▲수출 대기 중인 중국산 전기차들(사진=AFP/연합)

중국산 전기자동차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를 결정한 유럽연합(EU)에 반발하는 중국이 보복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중국은 유럽산 식품, 주류, 중대형 자동차 등에 대해 추가 관세 움직임을 보여왔다. 중국의 보복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유럽 국가들이 큰 타격을 입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중국은 전기차 추가 관세를 결정한 EU에 대응하기 위해 일련의 조치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앞서 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지난 12일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반(反)보조금 조사 잠정 결론을 토대로 17.4∼38.1%포인트의 잠정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려는 계획을 중국 당국과 대상 업체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EU은 이미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1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당시 발표된 상계관세율은 기존 관세에 추가로 적용된다. 다음 달부터 임시 조처 성격으로 상계관세가 부과될 예정으로, 올해 하반기 EU 27개 회원국이 승인하면 향후 5년간 시행이 확정된다.


보복 관세 대상으로는 중국이 수입하는 유럽산 와인, 브랜디 등 주류부터 차량, 식품은 물론 항공기도 거론된다. 특히 이들 품목은 다른 국가에서 쉽게 수입하거나 필수 제품이 아닌 만큼 중국 소비자 피해는 적지만 생산국들의 타격은 클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가장 유력한 제품은 프랑스산 브랜디다. 중국이 올해 연초부터 착수한 EU산 브랜디에 대한 반덤핑 조사 결과가 8월 말 전후로 발표될 전망인데 과거 호주산 와인처럼 아무때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


이런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프랑스가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국제무역위원회(ITC)에 따르면 지난해 EU의 대중국 브랜디 수출액은 약 17억5200만달러에 달했는데 이중 프랑스가 17억3900만달러로 99% 차지했다.


돼지고기도 또 다른 유력 제품으로 꼽힌다. 중국 상무부는 지난 17일 원산지가 EU인 수입 돼지고기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중국 해관총서(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작년 한 해 동안 스페인과 포르투갈, 아일랜드, 프랑스, 네덜란드, 덴마크 등으로부터 조사 대상 돼지고기와 부산물 총 33억달러어치를 수입했다. 이는 전 세계에서 수입한 분량의 절반 가량에 해당된다.



EUROPE-PORK/CHINA

▲베이징의 한 도매시장에서 소비자들이 돼지고기를 고르고 있다(사진=로이터/연합)

EU산 돼지고기에 대한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중국 소비자들이 입게 될 타격은 작을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돼지고기는 자국에서 생산되며 브라질이나 미국 등에서 수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EU산 유제품과 와인은 물론 중대형 수입차에 대한 추가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도 있다. EU 주재 중국 상공회의소는 지난달 “유럽의 와인과 유제품이 십자포화에 휘말릴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소셜미디어 X에서는 성명을 통해 “내부자로부터 대형 수입차에 대한 중국의 관세 인상 움직임에 대해 통보받았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또 블룸버그에 따르면 19일 중국의 한 관영매체는 중국 자동차 업체 일부가 유럽산 중대형 자동차에 대한 관세 인상을 정부에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덴마크, 네덜란드, 프랑스 등으로부터 유제품을 수입하지만 자국내 생산량이 증가하자 수입 규모가 감소추이를 보인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중국이 수입하는 유제품 중 절반은 뉴질랜드산이기도 하다.


주요 와인 생산국인 프랑스를 비롯한 지중해 국가들의 타격도 예상된다. 중국은 올해 초 호주산 와인에 대한 관세 부과를 해제한 데 이어 글로벌 와인 시장은 공급이 과잉된 상태다.


아울러 중국이 중대형 자동차에 대한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경우 독일과 슬로바키아에 타격이 가장 클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내다봤다.


이와 함게 프랑스 에어버스가 제조하는 항공기도 관세 대상이 될 수 있지만 현실화되기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에어버스 항공기에 추가 관세가 부과될 경우 미국 제조업체 보잉에 대한 중국의 의존도가 더욱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중국 대형 항공사들은 에어버스 A330neo 여객기 100대 이상을 구매하기 위한 협상을 벌이고 있어 중국 정부는 이를 당근책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