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계 소득대비 빚부담·증가속도 세계 주요국 중 4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7.07 11:06
.

▲높은 곳에서 내려다본 한 아파트 단지 전경. 연합뉴스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의 소득 대비 빚부담 정도나 증가 속도가 전 세계 주요국 중 4번째로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고금리가 장기화하면서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부담이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7일 연합뉴스가 국제결제은행(BIS) 자료를 분석한 것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가계 부문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Debt service ratios)은 14.2%로 집계됐다.


BIS는 국민계정을 활용해 산출한 17개국의 DSR을 분기별로 발표하는데 우리나라는 이중 노르웨이(18.5%), 호주(18.0%), 캐나다(14.4%)에 이어 네 번째로 높은 자리에 위치했다.



스웨덴(12.8%)과 네덜란드(12.4%), 덴마크(12.3%) 등도 지난해 기준 DSR이 10%가 넘었다. 이어 영국(8.7%)과 핀란드(8.0%), 미국(7.6%), 일본(7.5%), 포르투갈(7.1%), 벨기에(6.6%), 프랑스(6.2%), 독일(5.8%), 스페인(5.7%), 이탈리아(4.4%) 등의 순이었다.


DSR은 소득 대비 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로, DSR이 높으면 소득에 비해 빚 상환 부담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은 소득 대비 빚 상환 부담이 늘어나는 속도 또한 주요국 중 네 번째로 빨랐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DSR은 2022년(13.4%)과 비교해 0.8%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3.3%p(14.7→18.0%) 오른 호주, 3%p(15.5→18.5%) 오른 노르웨이, 1%p 오른 캐나다(13.4→14.4%) 다음이다.


핀란드 0.7%p(7.3→8.0%), 포르투갈 0.7%p(6.4→7.1%), 스웨덴 0.6%p(12.2→12.8%), 영국 0.2%p(8.5→8.7%) 등도 1년 새 DSR이 올라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졌다.




BIS가 집계하는 17개 주요국의 DSR은 분모인 소득에 금융부채 미보유 가계가 포함되고, 분자인 원리금 상환액 산정시 대출 만기를 일괄 적용(18년)하고 있어 실제보다 과소 산정됐을 가능성이 크지만 가계의 원리금 상환 부담 증가 속도, 국제적 비교 시 유용한 것으로 평가된다.


실제 한국은행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를 토대로 가계대출 차주 기준으로 평균 DSR을 산출한 결과 지난해 4분기 38.5%로 BIS 기준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났다.



김다니엘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