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건설, 하반기 해외 수주 ‘1조 달러’ 돌파한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7.08 14:11

원전사업 수주 가능성↑…누적 기준 1조 달러 목전

지난해 말 기준 지난 60년간 총 9638.3억 달러 수주

올 1~5월 현재 136.4억 달러로 1조 달러까지 361.7억 달러 남아

올 상반기 중동 전쟁 리스크, 인플레이션 장기화 등 변수

“시장 수주 가능한 전략 체계 전환 필요”

최근 4년 연속 300억 달러 돌파, 2년 연속 성장세를 보이며 숨 가쁘게 달린 우리나라 해외 건설이 올해 누적 수주액 1조 달러를 목전에 두고 있다. 위 사

▲최근 4년 연속 300억 달러 돌파, 2년 연속 성장세를 보이며 숨 가쁘게 달린 우리나라 해외 건설이 올해 누적 수주액 1조 달러를 목전에 두고 있다. 위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픽사베이

최근 4년 연속 300억 달러 돌파, 2년 연속 성장세를 보이며 숨 가쁘게 달린 우리나라 해외 건설이 올해 누적 수주액 1조 달러를 목전에 두고 있다. 특히 하반기 원전과 같은 대규모 사업의 수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1조 달러 달성에 긍정적인 기대가 나오고 있다. 다만 중동 내 전쟁 리스크 확대,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규제 강화 등은 변수가 될 전망이다.




8일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까지 해외 건설 누적 수주액은 9638억3000만 달러(약 1330조원)로 누적 수주액 1조 달러까지 361억7000만 달러를 남겨뒀다. 따라서 빠르면 올해 누적 1조 달러 달성이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우리 기업들은 올해 해외에서 대규모 공사를 잇따라 따냈다. 1월부터 5월까지 해외에서 136억4000만 달러(248건)를 수주했다. 이는 전년 동기 86억7000만 달러(248건)보다 57.3% 많고, 최근 5년 평균 105억7000만 달러(236건)보다 29.0%나 늘어난 수치다. 지역별로는 중동지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중동 국가 수주액은 같은 기간 99억8079만 달러로 전체의 73.2%(한화 13조7396억원)에 달했다. 이는 전년 동기(14억9974만 달러) 대비 6배 가까이(565.5%) 급등한 것이다. 이밖에 북미·태평양이 15억2674만 달러(11.2%), 아시아 14억9487만 달러(11.0%) 등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현재 해외에서 추진하고 있는 대형 수주건이 적지 않은 만큼 올해 내 누적 수주액 1조 달러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는 게 건설업계의 전망이다. 우선 현대건설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지정된 불가리아 코즐로두이 원전과 대우건설이 수의계약으로 딸 가능성이 높은 투르크메니스탄 비료공장 등이 수주가 유력한 대형 프로젝트들로 꼽힌다. 아울러 대우건설은 현재 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 두산에너빌리티와 '팀코리아'를 구성해 체코 원전 프로젝트 수주에 고삐를 죄고 있다.


다만 변수도 적지 않다. 올해 대부분의 수주가 중동에서 나오고 있는데 이란과 이스라엘 간 무력 충돌 발발 등 중동 내 전쟁 리스크가 계속되고 있다. 또 인플레이션 장기화,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규제 강화, 부채 증가에 따른 재정위기 가능성, 중국경제 둔화에 원자재 수요 위축도 불안 요인이다.




손태흥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올해는 해외건설 시장에 첫 진출을 한 이후 60년이 되는 해로 누적 수주 1조 달러 달성에 대한 기대가 커진 상황"이라며 “하반기 원전 등 대규모 사업들의 수주 가능성이 있어 긍정적인 전망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우리 기업의 수주경쟁력이 다소 약화된 상황"이라며 “주요 산유국이 재정 수입 확대를 통해 정유 및 석유화학 분야 외에 투자분야를 다각화함에 따라 유가와 플랜트 시장 간의 상관관계 강도는 점차 약해지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해외건설 수주를 적극 돕고 있다. 수출입은행은 전략 수주와 미래성장산업에 대해 향후 5년간 각각 85조원과 50조원을 지원하고, 초대형 수주 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해 기업의 해외 영업 활동을 돕는다.




다만 누적 수주 1조 달러 달성을 넘어 지속가능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수주전략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업과 국가의 역량 집결을 기반으로 프로젝트 수주에서 시장 수주가 가능한 전략 체계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민간업체들이 지원을 요청하는 사안에 대해서는 공공의 역할이 필요하지만, 공공이 주도적으로 나서서 수주실적 달성 같은 목표를 무리하게 제시하는 상황은 지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손 연구위원도 “양적 성장, 투자중심, 기술모방의 사업단위 수주에서 국가 보유 역량의 전략적 배분과 기업의 기술혁신을 통한 질적 성장이 가능한 시장 수주 기반으로 전략 체계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현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