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4년 반 만에 기준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지난 팬데믹 이후 치솟은 물가를 잡기 위한 긴축 통화정책 기조에 사실상 마침표를 찍은 것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연준은 18일(현지시간) 이틀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끝에 기준금리를 기존 5.25∼5.50%에서 4.75∼5.0%로 내리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0.5%p는 대폭 인하를 의미하는 '빅컷'이었다.
연준은 위원 총 12명 중 한 사람을 제외한 11명이 0.5%p 인하에 찬성했다고 전했다.
이로써 한국(3.50%)과의 금리 격차도 역대 최대였던 기존 2.00%p차에서 1.50%p차로 줄었다.
연준 금리 인하는 코로나19 팬데믹 위기 대응을 위해 긴급히 금리를 낮췄던 2020년 3월 이후 4년 반 만에 이뤄진 것이다.
연준은 이날 성명을 통해 “최근 지표들은 경제 활동이 계속 견고한 속도로 확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일자리 증가는 둔화했고, 실업률은 상승했지만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연준은 “인플레이션은 FOMC 2% 목표를 향해 더 진전을 보였지만 여전히 다소 올라가 있는 상태"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FOMC는 인플레이션이 계속 2%를 향해 가고 있다는 더 큰 자신감을 얻었고, 고용과 인플레이션 목표에 대한 리스크는 대체로 균형을 이뤘다고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또 “기준금리 목표 범위에 대한 추가 조정을 고려하면서, 위원회는 앞으로 나올 데이터와 진전되는 전망, 리스크들 균형을 신중하게 평가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뉴욕타임스(NYT) 등 미국 언론은 최근 미국 인플레이션 완화 추이 속에, 고용 상황 악화를 막기 위해 연준이 선제적으로 과감한 조치를 취한 것으로 평했다.
연준은 또 함께 발표한 점도표에서 연말 기준금리 전망치(중간값)를 종전 5.1%에서 4.4%로 낮췄다.
이는 연내 0.5%p 추가로 금리 인하가 있을 것임을 예고한 것이다.
내년 이후 기준금리 중간값은 2025년 말 3.4%(6월 예측치 4.1%), 2026년 말 2.9%(6월 예측치 3.1%), 2027년 말 2.9%(6월 예측치 없음)로 예상했다.
2028년 이후 장기 금리 전망은 6월 2.8%에서 2.9%로 0.1%p 상향했다.
또한 연준은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2.0%로 예상하며 지난 6월 발표한 2.1%에서 0.1%p 낮췄다.
연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상승률 예상치는 6월 2.6%에서 2.3%로, 연말 '근원 PCE 물가 상승률'(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 품목을 제외한 물가 상승률) 예상치는 6월 2.8%에서 2.6%로 하향했다.
연말 실업률은 4.4%로 예상해 6월 예측치(4.0%)보다 0.4%p 높였다.
연준은 팬데믹 부양책과 공급망 교란 등 충격 여파로 물가가 치솟자 작년 7월까지 기준금리를 2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5.25∼5.50%로 높였다.
이어서는 8회 연속 동결하며 이를 유지해왔다.
따라서 이번 금리 대폭 인하 결정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긴축 통화 정책에 사실상 마침표를 찍은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이번 금리 인하는 11월 5일 미국 대선을 48일 앞두고 이뤄진 것이다.
이에 조 바이든 대통령은 엑스(X)에서 “우리는 막 중요한 순간에 도달했다"며 “경제가 강세를 유지하는 동안 인플레이션과 금리는 떨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바이든 행정부 일원으로 민주당 대통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도 “높은 물가의 타격을 입은 미국인들에게 환영할 소식"이라고 환영했다.
다만 “나는 물가가 중산층과 근로 가정에 너무 높다는 것을 안다"며 “물가를 계속 낮추기 위한 노력에 집중하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반면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번 금리 인하에 부정적인 진단을 내놨다.
AFP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그들(연준)이 정치하는 것이 아니라고 가정하면, 경제 상황이 금리를 그 정도로 내려야할 만큼 매우 나쁘다는 것을 보여주는 일"이라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대선 전 연준 금리 인하에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