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제3차 산업디지털전환위서 ‘AI+R&DI 추진전략’ 발표
안덕근 산업장관 “게임체인저 AI에 따른 산업 체질 근본적 변화에 전폭 지원”
정부가 2030년까지 인공지능(AI)을 적용한 연구개발(R&D) 프로젝트 600개를 추진한다. 산업기술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다. 또 기업이 산업 현장에서 AI 활용을 촉진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전처리 자동화 시스템 구축 등 다양한 내용을 지원한다.
17일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타이어 판교 테크노플렉스에서 안덕근 산업부 장관 주재로 제3차 산업디지털전환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AI+R&DI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전략은 지난달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발표한 산업 AI 전환 확산 방안의 후속 조치다. 또 5월 출범한 'AI 시대 신산업 정책위원회'에서 정한 6대 AI 활용 전략 중 하나다.
'AI+R&DI 추진전략'에 따르면 AI를 산업현장의 R&D와 혁신(Innovation) 과정에 적용해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세 가지 전략으로 구성했다.
우선 △AI를 적용한 기술개발을 확산하고(AI+기술개발) △전 세계 기술·인재를 AI로 탐색하고 연결하며(AI+개방혁신) △정부 연구개발(R&D) 기획-평가-성과관리 과정에 AI를 전면 적용하는(AI+연구행정) 등 세가지 축이다.
이를 통해 '30년까지 기술혁신 소요기간과 비용을 30% 이상 절감하고, 사업화 매출을 40% 확대하며, 정부 연구개발(R&D)에 참여하는 연구자의 행정부담 50% 경감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R&D 설계와 실험에 AI 기술 도입을 적극 지원한다. 2030년까지 600개 R&D 프로젝트를 단계별로 추진하고, 2032년까지 산업부 신규 R&D 과제 100%를 투입하는 것이다.
기업 수요가 많은 소재 분야의 물질 데이터도 2026년까지 2배 이상으로 확대해 1000만건을 구축하고 연산 자원에 대해 지원한다.
또 AI와 로봇공학을 활용해 실험을 자동화하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AI 자율실험실도 도입한다. 자율실험실은 실험계획을 AI가 스스로 변경·수행할 수 있도록 해 연구 효율성을 높인 개념이다. AI 자율실험실은 2030년까지 500개 도입이 목표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AI는 이제 기술 혁신의 핵심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으며 산업 전반에 걸친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어갈 게임체인저"라며 “AI를 활용해 우리 산업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정부가 전폭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해 산업부는 특히 전략의 빠른 확산을 위해 'AI+R&DI 트랙'을 만들고, 정부 R&D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 나아가 전 세계에 흩어진 기술과 인재 등 혁신 자원을 AI를 통해 탐색하고 연결하는 '테크(Tech)-GPT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생태계 육성에 나선다.
당장 다음 달부터 특허 1억1000만건, 논문 2억2000만편 등 민간 보유 데이터를 대형언어모델(LLM)로 학습시켜 내년 하반기부터 서비스한다. 2026년 실시간 인재·기업정보 탐색, 2027년 글로벌 플랫폼과 연계한 기술·인재 정보 구축이 목표다. 이를 위해 2028년까지 민관이 함께 161억원의 자금을 투입한다.
축적된 정보·설루션을 바탕으로 국내외 전문기업이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테크-GPT 활용을 위한 '테크-GPT 스토어'도 개설한다. 이와 함께 지식재산권(IP) 전략 수립 및 공급망 분석 등 전문 서비스 생태계도 함께 조성한다.
산업부는 이날 함께 발표한 '산업 데이터 활용 활성화 방안'을 통해 데이터 전처리 자동화 시스템 등 기업의 AI 활용을 촉진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지원을 제공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