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도 주춤…‘기울어진 운동장’ 된 美반도체 시장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11.18 15:13

TSMC 애리조나 공장 1년 연기
삼성도 테일러 가동 지연 발표
美기업들은 순조로운 공사 진행
정부지원·인력난이 발목 잡아

TSMC·삼성전자 CI 조형물. 사진=연합뉴스·박규빈 기자

▲TSMC·삼성전자 CI 조형물. 사진=연합뉴스·박규빈 기자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미국 내 공장 건설이 잇따라 차질을 빚고 있다. TSMC와 삼성전자가 각각 최대 1년 이상 가동 시점을 연기하면서, 미국의 반도체 공급망 강화 정책에 빨간불이 켜졌다. 반면 미국 기업들의 투자는 순항하고 있어 '기울어진 운동장' 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는 이를 단순한 우연이 아닌 구조적 문제로 보고 있다.




18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최근 TSMC는 최근 애리조나 1공장의 가동 시점을 2024년에서 2025년으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2공장 역시 가동을 2026년에서 2027년 이후로 일정을 미뤘다.


이는 삼성전자가 텍사스 테일러 공장의 가동을 2026년 이후로 연기한다고 밝힌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나온 결정이다. 두 기업 모두 미국 정부의 반도체 공급망 강화 정책에 호응해 대규모 투자를 결정했지만, 실제 이행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난관에 부딪힌 것이다.



업계에서는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원인을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한다. 먼저 미국 정부의 보조금 지원 체계가 복잡하고 지연되고 있다. 칩스법(CHIPS Act) 통해 약속된 520억 달러의 보조금은 아직 실질적인 집행이 이뤄지지 않았다. 특히 외국 기업들에 대한 보조금 지원은 더욱 까다로운 심사 절차를 거치고 있으며, 초과이익 반납 등 추가 조건도 부과됐다.


이어 현지 인프라와 인력 확보의 어려움이 또다른 난관이다. 역설적으로 미국이 노동 선진국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다. 반도체 기업 입장에서는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숙련된 기술 인력이 부족하다는 얘기다.




삼성전자와 TSMC 등은 오랜 기간 미국과 비교해 적은 임금으로 더 숙련된 노동자를 사용하던 입장이었지만, 미국에서는 고임금에 숙련도가 기존보다 떨어지는 노동자를 고용해야 하는 처지다.


실제로 TSMC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만에서 기술자를 대거 파견하는 방안도 검토 중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역시 현지 인력 채용과 교육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끝으로 예상을 뛰어넘는 비용 증가가 문제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공사비 상승, 미국의 높은 인건비, 본국 대비 2~3배에 달하는 운영비용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여기에 삼성전자의 경우 주요 고객 확보 실패로 인한 물량 부족과 장비 도입 연기 등 추가적인 어려움도 겪고 있다.


최근에는 정치적 불확실성도 증가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의 재집권 예정에 따라 외국 기업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는 칩스법 등 외국 기업에 대한 지원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집권 이후 외국 기업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축소하고 대신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이는 삼성전자와 TSMC의 투자 계획에 추가적인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


반면 인텔, 마이크론,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등 미국 기업들의 공장 건설은 상대적으로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이들은 현지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고, 정부 지원도 상대적으로 원활하게 받고 있다. 인텔의 애리조나 공장과 마이크론의 아이다호 공장은 일정에 맞춰 진행 중이며,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의 텍사스 셔먼 공장도 계획대로 추진되고 있다.


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와 TSMC의 미국 내 생산 기반 구축이 지연되면 미국의 반도체 자급률 제고 목표 달성도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며 “미국 정부의 보다 실효성 있는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강현창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