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불발에 ‘검은 월요일’… 환율 1430원 돌파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12.09 15:53

정치적 불확실성에 개인 투매 쏟아져…양 증시 급락
코스피 2400선 붕괴…코스닥 5% 하락, 630선 하회
정국 불안에 원화가치도 ‘흔들’… 원·달러 환율 급등

한덕수 국무총리와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한덕수 국무총리와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국정 수습 방안을 담은 공동 담화문 발표를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

탄핵 정국 장기화로 정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국내 증시가 연저점을 경신했다. 유가증권시장(코스피)은 지난해 11월 이후 1년여 만에 2400선이 무너졌고 코스닥도 630선이 뚫렸다. 지난 주말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의결 정족수 미달로 불성립되면서 불안 심리가 높아진 개인 투자자들이 투매에 나선 영향이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유가증권시장(코스피)은 전 거래일 대비 67.58포인트(2.78%) 하락한 2360.58에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는 장중 한때 2365.30을 기록하며 연중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코스피가 2400선을 하회한 것은 지난해 11월3일(2368.34) 이후 13개월여 만이다.


개인 투자자들은 코스피에서 8891억원 넘게 순매도하면서 지수를 끌어내렸다. 2거래일 연속 투매 양상을 보이고 있다. 외국인은 장중 '팔자'세를 보이며 순매도했으나 장 마감을 앞두고 1028억원 순매수로 돌아섰다. 기관도 6919억원 매수 우위를 기록했다.



코스닥 지수도 전 거래일 대비 34.32포인트(5.19%) 내린 627.01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8월5일 미국발 경기 침체 우려로 코스닥 지수가 11.08% 하락한 '검은 월요일' 이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개인은 코스피와 마찬가지로 코스닥 시장에서도 3016억원어치를 순매도하며 지수 낙폭을 키웠다.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053억원, 1002억원 순매수했다.




국내 증시가 하락한 데는 탄핵소추안이 불성립되면서 정치 리스크가 장기화될 것을 우려한 투자자들이 매도 행렬에 나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덕수 국무총리와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8일 공동 담화문을 발표하고 상황 수습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국정 공백에 대한 불안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이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 8일 “지금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국정에 한 치의 공백도 있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이라며 “국민의힘 당 대표와 국무총리 회동을 주 1회 정례화해 국정 방향을 논의하고 대책을 마련해서 국정 공백이 안 일어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야당에서도 탄핵안이 가결될 때까지 매주 탄핵안을 상정한다는 입장을 밝힌 만큼 국내 정치 불안정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12·3 윤석열 내란 사태에 대한 특검법'과 '김건희 여사 특검법'을 발의했다. 민주당은 김 여사 특검법은 오는 12일, 내란 특검법은 오는 14일 각각 본회의에 올려 표결한다는 방침이다.


정치 불확실성에 달러 대비 원화 가치도 급락했다. 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3.40원 오른 1437.4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개장 직후 1426원에 거래를 시작했다. 이는 개장가 기준 지난 2022년 11월4일(1426원) 이후 2년1개월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었으나 장중 급등하면서 1430원도 돌파했다.


전문가들은 탄핵 관련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환율 상승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단기적인 환율 변동 이후 서서히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오재영 KB증권 연구원은 “정치적 불확실성 장기화 우려로 달러·원 변동성 확대가 예상되고 있어 1400~1450원 내에서의 방어 여부가 중요하다"며 “다만 과거에도 굵직한 정치적 이벤트가 발생하면 환율 급등 사태는 지속됐지만 정치적 리스크가 직접적으로 경기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이라고 말했다.



김기령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