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채권 보관액 약 16조6700억원…1년 만에 3배 가량 증가
연내 금리 하락 기대에 투심 몰려…미 장기채 ETF 투자 급증
국내 투자자의 미국 채권 보관액이 17조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국내 투자자의 미국 채권 보관액은 117억3834만달러(약 16조6720억원)로 집계됐다. 데이터 조회가 가능한 지난 2011년 이후 연간 기준 최고치다.
미국 채권 보관액은 올해 들어 급증하는 추세다. 지난해 말 기준 보관액 규모는 42억8916만달러(약 6조906억원)였으나 1년 새 약 3배 증가했다. 채권뿐만 아니라 미국 장기 국채에 투자하는 해외 상장지수펀드(ETF)로도 투자자들이 몰렸다.
'디렉시온 데일리 20년 이상 국채 3X ETF'의 보관액은 지난 4일 기준 13억2588만5132달러(약 1조8824억원)로 집계됐다. 해당 ETF는 미국 장기채 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3배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품이다.
또 '아이셰어즈 20년 이상 국채 ETF'와 '아이셰어즈 20년 이상 국채 JPY 헤지드 ETF'의 보관액은 각각 7억9682만909달러(약 1조1317억원), 7억8313만311달러(약 1조1123억원)로 집계됐다.
올 들어 국내 투자자의 미국 채권과 장기채 ETF 보유 금액이 급증한 것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투자 수요가 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실제 연준은 지난 9월 기준금리를 0.50%포인트(p) 인하하는 빅컷을 단행했다. 연말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도 추가로 기준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다.
특히 최근 발표된 11월 미국 공급관리협회(ISM) 서비스업 지수가 52.1%로 지난달(56.0%) 및 시장 예상치(55.5%)보다 부진했다는 점도 금리 인하 전망을 뒷받침하고 있다.
증권가에서도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다.
안소은 KB증권 연구원은 “월러 연준 이사가 12월 추가 금리 인하를 지지한다고 밝힌 데 이어 샌프란시스코와 시카고 연은 총재가 기준금리를 더 낮춰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또 쿠글러 연준 이사 역시 연준이 더 중립적인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언급한 만큼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의 12월 기준금리 인하 확률은 조금 더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문남중 대신증권 연구원은 “현재 미국 증시는 산타랠리 시작에 앞서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산타랠리 서막을 알리는 기폭제로 작용하고 있다"며 “금리 인하 기대는 산타랠리 도래 전 미국 증시가 상승폭을 키워나가는 동인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