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누적 영업이익 3조7548억…4분기 더하면 연간 4조 넘길 듯
유·무선 회선 확대 통한 성장 지속…비용 절감 통한 경영 효율화
한 단계 도약 위해선 AI 수익 절실…AI DC·AI CC 사업 강화 온힘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가 올해 합산 영업이익 4조원을 넘어서며 4년 연속 연간 합산 영업이익 '4조원' 시대를 열 전망이다. 다음 목표는 '5조원' 시대다. 이를 위해선 인공지능(AI) 사업을 수익화 하는 게 중요하다는 관측이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통신 3사의 합산 영업이익은 3조7548억원이다. 각 분기마다 1조원 이상의 이익을 기록한 것을 고려하면, 4분기까지 합산 영업이익은 4조원을 넘길 것으로 보인다.
3조원대에 머물던 통신 3사의 합산 영업이익은 5세대 이동통신(5G) 상용화의 효과로 2021년부터 4조원대에 안착했다.
5G 가입자 증가세는 예년과 비교해 둔화됐지만 여전히 통신 3사의 핵심 수익원 중 하나다. 올해도 3사는 본업인 유·무선 사업에서 회선 확대에 기반한 소폭 성장을 지속했다.
여기에 더해 마케팅비용·설비투자(CPAEX) 감소와 사업 내실화를 통해 수익성 개선을 일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내친김에 통신 3사는 합산 영업이익 5조원 시대까지 바라보는 분위기다. 시장에서는 통신 3사가 한 단계 더 성장하기 위해선 최근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AI 관련 사업에서 수익이 나야 한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에 통신사들도 내년부터는 AI로 돈을 벌어보겠다는 목표를 향해 전열을 재정비하고 있다. 통신 3사는 AI 데이터센터(DC)나 AI 콘택트센터(CC) 등의 기업 간 거래(B2B) 사업을 확대해 보다 빠른 수익화를 실현하겠다는 전략이다.
단기 매출 실현이 가시화된 사업은 AI DC다.
AI DC란 AI 작업에 최적화된 데이터센터를 의미한다. 기존 데이터센터가 범용적인 연산 작업에 주력했다면, AI 데이터센터는 대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제공한다.
AI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AI 서버에 대한 수요가 커지며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해주는 AI DC 사업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통신 3사는 AI 데이터센터 개소를 빠르게 추진해 시장 수요에 대응할 방침이다.
SK텔레콤은 연내 서울 가산에 엔비디아 그래픽 처리장치(GPU) 기반의 AI 데이터센터를 개소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파주에 AI용 초대형 데이터센터를 설계 중이며, KT는 가산에 데이터센터를 짓고 있다.
B2B 영역에서 AI 수익화가 기대되는 대표 서비스로 AI CC도 빼놓을 수 없다.
AI CC는 사람 대신 AI 콜봇이나 챗봇이 고객 질문에 응대하는 지능형 고객센터다. 초기에는 금융권에 한정됐던 수요가 현재는 유통,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군으로 확대되고 있다. 다수의 고객을 응대하는 업종 입장에서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인건비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통신 3사 모두 관련 서비스를 속속 선보이며 AI CC 고객 수요 잡기에 나선 상태다.
SK텔레콤은 'SKT AI CCaaS'를 전면에 내세운다. SKT AI CCaaS는 전화 인프라와 상담 앱, AI 솔루션, 전용 회선, 상담 인력 등 AICC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기능과 솔루션을 제공하는 구독형 서비스다. 챗봇이나 상담 앱 같은 일부 솔루션만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KT는 AICC 솔루션에 클라우드 역량을 결합한 서비스형 AICC 상품 'KT 에이센 클라우드'를 내놨다. KT는 실시간 대화록, 상담 어시스턴트 등을 상담 앱으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관련 서비스로 제공한다.
LG유플러스는 향후 AICC 영역에서 자체 생성형 AI 익시젠을 탑재해 산업별 전문성을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AICC가 고객사 산업 특성에 맞는 맞춤 답변을 하도록 해 상품 경쟁력을 높이는 게 골자다.
업계 관계자는 “AI 시대를 맞아 AI DC의 중요도는 계속 높아질 전망이며, 업무 효율화 측면에서 AI CC는 시장의 '킬러 서비스'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내년부터는 이들 사업을 활용한 수익성 증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