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청년층 고용률 분석 결과
지난 11월 기준 45.5%, 2명중 1명꼴…OECD) 주요국 중 매우 낮은 편
청년층(15~29세) 고용률이 40%대의 부진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역대 최고 고용률을 찍고 있지만 정작 고용시장에서는 위기를 느끼고 있다. 사회 초년생들의 취업 문턱이 높은 상황에서 체감할 수 있는 고용정책이 필요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29일 에너지경제신문이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청년층(15~29세) 고용률을 분석한 결과 지난 11월 기준 45.5%로 40%대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2명 중 1명 꼴로 일자리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올해 1월 46.3%, 2월 46%, 3월 45.9% 4월 46.2% 5월 46.9%, 6월 46.6%, 7월 46.5%, 8월 46.7%, 9월 45.8%, 10월 45.6%로 청년층 고용률은 40% 중반대의 고용지표가 오르락내리락을 거듭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청년층의 고용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 중에서도 매우 낮은 편이다. 2022년 기준 한국의 청년층 고용률은 46.6%로 미국(61.2%)·영국(64.8%)·일본(61.0%)·독일(61.7%)·유럽연합(EU·54.6%·38개국 평균)에 못 미친다.
청년층 고용률의 부진과 함께 취업자와 실업자를 합한 경제활동참가율도 50%를 넘지 못하고 있다. 지난 11월 기준 806만5000명 중 경제활동인구는 388만1000명으로 경제활동참가율이 48.1%에 그친 것으로 분석됐다.
서용석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는 청년들의 실업률이 높은 가장 근본적인 이유에 대해 일자리 미스매칭을 꼽았다. 서 교수는 “OECD 국가들에 비해 우리나라의 대졸 비율이 높은데 이는 대학원 포함해서도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고학력 취준생들이 많은 것이 현실"이라고 밝혔다.
또 “대졸 기준에 맞추고 그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를 찾다 보니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가 어려운 것"이라며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를 구하기가 쉽지 않다 보니 몇 번의 구직 실패로 아예 취업을 포기해 버리는 취준생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제조업의 청년층 구인난이 이같은 현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해보니 11월 기준 60세 이상 고령층의 제조업 취업자는 67만2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만5000명 늘었다. 특히 70세 이상 초고령층으로 한정하면 1만3000명 증가한 8만명을 기록했다.
20대 이하 청년층 제조업 취업자가 7만3000명 줄어든 것과 대비된다. 이는 가속화되는 저출생·고령화 흐름과 맞물려 있다는 평가와 함께 청년층이 기피하고 있는 제조업에 고령층이 자리를 메우고 있다는 분석이다.
청년층에서 일도 구직도 하지 않고 쉬고 있는 이른바 '쉬었음' 증가세가 우려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경제활동인구조사 비임금근로 및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층 쉬었음이 꾸준히 증가하며 75만명을 눈앞에 뒀다.
청년층에서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라는 응답이 30.8%로 가장 많았다. 비슷한 사유인 '일자리가 없어서'라는 응답도 9.9%로 조사됐다. 다음은 '다음 일 준비를 위해 쉬고 있음'(20.9%), 몸이 좋지 않아서(16.0%) 순이었다.
세종에 사는 소모(29)씨는 “취업을 하고자 해도 기업에서 경력자를 원하는 경우가 많아 그냥 쉬고 있는 청년들이 많다"며 “삶을 즐기기 위해 직장에 속해 있기 보다 알바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많고 1년 일하고 여행을 다니거나 즐기는 삶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서 교수는 “청년층 쉬었음이 75만명에 육박하고 있다는 것은 청년층 고용상황을 잘 대변하고 있다"며 “다음 일 준비를 위해 쉬고 있는' 청년들도 결국 스펙을 더 쌓아서 자신들이 원하는 일자리를 찾겠다는 의지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서 교수는 취업을 포기하거나 쉬고 있는 청년들이 부모에 기대어 독립하지 못하고 30, 40이 넘을 때까지 은둔형 외톨이 생활을 이어가고 있는 점도 우려 요인으로 꼽았다. 그는 “일본이 이미 이러한 사회현상을 우리보다 앞서서 경험을 했고 60대 자녀가 90대 부모의 연금에 의존해서 살아가고 있는 사례들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고 소개했다.
정부의 단기 땜질식 일자리 대책으로는 청년층 고용난을 해결할 수 없다는 평가도 나왔다. 서 교수는 “저출산으로 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들 것으로 크게 우려되고 있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많은 청년들이 구직을 포기하고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 더 큰 문제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다양한 경험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대전에 사는 정모(27)씨는 “정부에서 인턴이라든지 여러 가지 그런 정책을 통해서 좀 다양한 경험을 좀 쌓을 수 있는 그러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