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퇴직하면 31개월치 임금”...은행권, 희망퇴직 독려 이유는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1.05 09:52

신한은행, 만 38세 직원 희망퇴직 접수
541명 퇴직 완료...전년 대비 2배 증가
국민은행, 올해도 650명대 퇴사할듯

은행원, 전문성 발휘 타사 전직 꾸준
인사적체 해소-신입사원 채용 선순환

은행 영업점.

▲은행권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거래 증가로 영업점 방문 고객 수가 줄어든데다 인사 적체를 해소하고, 신입사원 채용을 늘리기 위해 희망퇴직을 장려하고 있다. 사진은 은행 영업점 모습.

4대 은행의 희망퇴직 대상 연령대가 점차 낮아지고 있다. 비대면 거래 증가로 영업점 방문 고객 수가 줄어든데다 인사 적체를 해소하고, 조직을 슬림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특히 최근과 같은 불경기에도 은행 직원들의 경우 다른 기업으로 전직 기회가 많아 조건이 조금이라도 좋을 때 희망퇴직을 신청해 최대 31개월치 평균 임금을 받고 퇴사하려는 직원들의 수요도 꾸준하다. 희망퇴직자 규모가 많아지면 은행도 신규 직원 채용 규모를 늘릴 수 있어 직원과 회사 모두 이득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작년 12월 13일부터 17일까지 희망퇴직자를 접수해 직원 541명이 퇴직을 완료했다. 신한은행의 이번 희망퇴직자는 전년(234명) 대비 2배 불었다. 신한은행이 희망퇴직 대상자를 1986년 이전 출생직원으로 확 낮춘 영향이다. 작년 초만 해도 1965년생 이후, 1968년생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접수했지만, 올해는 1966년생 이후와 1972년생, 1986년 이전 출생직원으로 대상자를 넓혔다. 다만 특별퇴직금은 월 평균 임금의 7~31개월 분으로 작년과 동일하다.


국민은행은 작년 12월 26일부터 31일까지 희망퇴직을 접수해 이달 18일 퇴사한다. 국민은행은 2023년 말까지만 해도 1972년생까지 희망퇴직을 접수했지만, 이번에는 1974년생으로 넓혔다. 특별퇴직금 규모는 최대 31개월치 월평균임금으로, 조건은 전년과 같다. 이 회사는 2023년 말 희망퇴직을 통해 674명의 직원이 퇴사했는데, 올해도 이와 비슷한 규모의 직원들이 회사를 떠날 예정이다.



4대 은행 희망퇴직 현황.

▲4대 은행 희망퇴직 현황.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희망퇴직 대상자와 조건 등이 전년도와 대동소이하다. 하나은행은 이달 31일 기준 만 15년 이상 근무하고, 만 40세 이상 일반 직원을 대상으로 이달 6일까지 희망퇴직을 접수한다. 특별퇴직자로 선정되면 연령에 따라 최대 31개월치 월평균임금을 받는다. 하나은행은 1968년 하반기 생~1971년생 준정년 특별퇴직직원에 한해 자녀학자금, 의료비, 전직지원금을 지급한다. 작년 초에는 이러한 조건으로 226명의 직원들이 퇴사를 확정했다.


우리은행도 이달 7일까지 정규직 입행 후 10년 이상 재직한 직원들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접수한다. 퇴직이 결정되면 1969년생은 19개월치 평균 임금을, 1970년생과 1971년생 이후 출생자는 각각 31개월치의 평균임금을 받는다. 작년 초에는 희망퇴직으로 363명의 직원들이 퇴사했다.




각 은행마다 세부 내용은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은행권의 희망퇴직 규모는 확대되는 추세다. 시중은행의 경우 중소기업이나 저축은행, 지방은행 등으로 인력 수요가 꾸준하기 때문에 직원들은 거액의 퇴직금을 수령하고, 전직을 통해 제2의 인생을 설계하겠다는 분위기다. 일례로 iM뱅크는 최근 가산디지털금융센터, 동탄금융센터를 개점하며 수도권 영업 활성화에 주력하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최근 퇴직한 은행원들은 전문성을 살려 사업을 하기보다는 다른 기업으로의 재취업 하는 경우가 많다"며 “퇴직자 중 상당수가 제2의 직장을 정해두고 퇴사하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퇴직한 은행원들은 사업보다는 전직을 선호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내수 부진, 최저임금 인상, 경기 침체 등으로 폐업 사업자 수가 100만명에 육박한 만큼 은행원의 전문성을 살리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판단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에 따르면 작년 폐업 사업자 수는 98만6000명으로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6년 이후 가장 많았다. 특히 진입장벽이 낮아 사업자 간에 경쟁이 치열하고, 최저임금 등 비용 부담이 큰 음식업과 소매업의 경우 폐업률이 각각 16.2%, 15.9%에 달한다.


은행 입장에서도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거래 증가로 영업점 방문 고객 수가 줄어든데다 인사 적체를 해소하고, 신입사원 채용을 늘리기 위해 희망퇴직을 장려하고 있다. 다만 실적에 따라 연말 희망퇴직 조건이나 규모는 조금씩 바뀔 수 있어 조금이라도 조건이 좋을 때 희망퇴직을 접수하려는 직원들의 눈치싸움도 치열하다.


또 다른 관계자는 “회사 입장에서는 코로나19를 전후로 영업점 방문 고객들이 절반 가량 줄었기 때문에 판매관리비에 대한 부담이 늘 있다"며 “은행들의 연간 실적에 따라 희망퇴직 규모나 세부 요건도 달라지기 때문에 퇴직 대상자들은 가급적 조건이 좋을 때 퇴사하는 분위기"라고 밝혔다.



나유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