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앞둔 LS 美 계열사…에식스는 ‘기대’·SEABL은 ‘우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1.07 13:43

에식스솔루션즈, 글로벌 투자사들 러브콜 속 상장 순항

북미 전기차 권선 시장 1위...기업가치 10억달러 평가

SEABL, SKS크레딧 투자유치와 함께 의무상장 조건

상장 실패시 제3자 매각권까지 부여한 까다로운 계약

통신케이블 업종 침체에 상장 전망 불투명 우려 제기

에식스솔루션즈 CI

▲에식스솔루션즈 CI

LS그룹의 미국 계열사들이 비슷한 시기에 상장을 추진하면서 시장 상황과 타이밍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전기차용 특수 권선을 만드는 에식스솔루션즈는 글로벌 투자사들의 관심 속에 2025년 상장을 준비하고 있지만, 다른 계열사는 의무상장 조건 등으로 인해 상장 부담이 커지고 있다.




두 계열사 잇단 대규모 투자 유치…상장 조건은 '천차만별'

에식스솔루션즈(Essex Solutions)는 최근 미래에셋-KCGI 컨소시엄으로부터 2억달러(약 29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며 2025년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에식스설루션즈의 주력 제품은 '전기차·하이브리드차용 특수 권선'과 '대용량 변압기용 특수 권선'이다. 전기차용 특수 권선은 구동 모터의 핵심 소재로 높은 전압을 견딜 수 있는 기술력이 필요하다.



이번 투자로 컨소시엄은 약 20% 지분을 확보했으며, 이를 기준으로 한 기업가치는 약 10억달러(1조4500억원)로 평가됐다. 베인캐피탈, 골드만삭스, IMM, 싱가포르투자청(GIC) 등 투자사들이 입찰에 참여했다.


LS는 미국 내 계열회사인 통신케이블 전문 업체 슈페리어 에식스 ABL(Superior Essex ABL Inc.·SEABL)의 상장도 추진 중이다. SEABL은 지난해 SKS크레딧으로부터 1억5000만달러(약 2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면서 2026년까지 의무적으로 상장해야 하는 조건을 수용했다. 당시 SEABL의 기업가치는 약 7억5000만달러(약 1조원)로 평가됐다.




SEABL이 체결한 계약에는 까다로운 조건이 포함됐다. 2026년까지 상장하지 못할 경우 SKS크레딧은 자신의 지분뿐 아니라 모회사인 슈페리어 에식스(Superior Essex Inc.·SPSX)가 보유한 SEABL 지분까지 제3자에게 매각할 수 있는 '드래그얼롱' 권한을 갖게 된다.


또 매년 주당 매수대금의 2%에 해당하는 배당을 받을 권리도 보장받았다. 공동매각이 이뤄질 경우에는 투자원금에 연복리 7%의 이자를 더한 금액을 보장받는 등 투자 조건이 복잡하다.


슈페리어에식스 CI

▲슈페리어 에식스 CI

엇갈리는 전망…에식스 '독보적 기술력'·SEABL '업황 악화'

에식스솔루션즈는 현재 전기차/하이브리드차용 특수 권선과 대용량 변압기용 특수 권선 두 가지를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다. 특히 전기차용 특수 권선은 구동 모터의 핵심 소재로 높은 전압을 견딜 수 있는 기술력이 요구되는데, 에식스솔루션즈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적 우위를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다. 중국을 제외한 북미 지역에서는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그 덕분에 모회사인 SPSX의 실적도 호조세다. 2023년 15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했고, 올해 3월에는 미국 정부의 55조원 규모 고속통신망 구축 프로젝트에도 참여했다.


에식스솔루션즈에 대한 투자환경이 우호적인 것과는 다르게 문제는 SEABL이다.


드래그얼롱에 따라 상장 시기를 조율하기가 어렵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다. 상장하지 않고 SKS크레딧의 투자를 유지하기에도 재무적인 부담이 상당하다.


또 SEABL이 속한 통신케이블 시장에 대한 전망이 우호적이지 못하다는 점도 문제다.


실제로 케이블 관련 기업들에 대한 미국 투자자들의 시각은 상당히 부정적으로 알려졌다. 포츈 등은 북미 지역의 5G 서비스 시장에 대해 연평균 50% 이상의 성장을 기대하고 있지만, 5G용 케이블 시장은 연평균 5% 수준의 성장이 기대되는 정도다.


이 때문에 모회사인 SPSX도 2008년 나스닥 상장폐지 이후 미국 시장 재상장을 추진했다가 중단한 전력이 있다.


최근 글로벌 IPO 시장의 회복이 더딘 상황도 우려다.


한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에식스솔루션즈의 경우 전기차 시장의 성장성을 인정받아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다"며 “하지 SEABL은 통신케이블이라는 전통 산업에 속해 있어 시장의 평가가 엇갈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 회사들의 지배구조를 보면 LS그룹이 최상위에 있다. LS는 자회사인 엘에스아이앤디의 지분 93.2%를 보유하고 있으며, 엘에스아이앤디는 미국 지주회사인 싸이프러스인베스트먼츠(Cyprus Investments Inc.)를 100% 소유하고 있다. 싸이프러스인베스트먼츠는 다시 SPSX의 지분을 100% 보유하고 있고, SPSX는 권선 사업부문인 에식스솔루션즈와 통신케이블 사업부문인 SEABL를 자회사로 두고 있는 구조다.



강현창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