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도 사고파는 시대, 조선의 ‘길몽 매매문서’ 발굴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1.08 09:44

안동=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 과학과 기술이 주도하는 AI 시대에도 꿈에 담긴 전통적 믿음은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과 행운을 상징한다. 조선시대에서도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이어진 꿈의 가치를 보여준 희귀한 유물이 발굴됐다.





꿈도 사고파는 시대, 조선의 '길몽 매매문서' 발굴

▲박기상 꿈매매문서. 제공-순천박씨 충정공파 운경정사 기탁자료

한국국학진흥원은 자료 정리 중 길몽 매매와 관련된 '꿈 매매문서' 2점을 발견했다고 8일 밝혔다. 이는 꿈을 사고파는 독특한 전통을 공식화한 문서다.


1814년 대구에 사는 박기상은 청룡과 황룡이 하늘로 오르는 웅장한 꿈을 꿨다. 박기상은 과거 시험을 치러 한양으로 떠나는 친척 동생 박용혁에게 꿈을 팔았고, 이를 기록한 매매문서에는 꿈값으로 1천냥을 주고받기로 한 내용이 담겼다.



꿈도 사고파는 시대, 조선의 '길몽 매매문서' 발굴

▲신씨 꿈매매문서. 제공-진주강씨 법전문중 도은공파 기탁자료

흥미롭게도 이 대금은 과거 급제 후 지급하기로 조건을 달았으며, 문서에는 두 당사자의 이름과 증인 날인이 있었다.


또 다른 사례로, 1840년 경북 봉화에서 신씨라는 하인이 청룡과 황룡 두 마리가 얽힌 꿈을 꿨고, 친척 강만에게 삼색실을 대가로 꿈을 판매했다. 해당 매매문서 역시 꿈을 판 사람, 산 사람, 그리고 증인의 날인이 정확히 기록되어 있었다.




이번에 발견된 꿈 매매문서는 조선 시대 사람들이 꿈을 통해 행운을 빌며 거래까지 이어진 삶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보통 꿈 거래가 구두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문서화된 사례는 매우 드물며, 문서 자체로도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꿈 거래의 역사는 우리 문화에서 오랜 전통이다. 고려사의 '진의매몽'과 삼국유사의 '문희매몽'은 이러한 매매 전통을 문학적으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진의매몽'은 한 여성이 언니의 상징적인 꿈을 비단 치마로 구매한 후 왕후가 된 이야기다. '문희매몽'은 김유신의 누이 문희가 길몽을 사들여 태종무열왕 김춘추의 왕비가 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처럼 길몽은 지위 상승이나 대운을 가져오는 상징으로 여겨졌다. 특히 용꿈은 사회적 성공과 권력을 예고하는 대표적인 길몽으로 꼽힌다.


정종섭 한국국학진흥원장은 “길몽 매매는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독특한 풍습이다. 꿈을 팔고 사는 문화는 행운과 희망을 상징적으로 믿는 우리의 민족적 정서를 잘 보여준다"며 이번 발굴 자료의 의미를 강조했다.



정재우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