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 만기 전 사채 취득’ 이달 들어 11건 공시
전환가액보다 낮은 주가에 CB 조기 상환 늘어
풋옵션 행사 증가에 기업 유동성 압박 커져
매입 자금 확보 위한 추가 CB 발행 등 악순환
최근 코스닥 상장사들의 주가 부진에 투자자들이 전환사채(CB) 조기상환청구권(풋옵션)을 행사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CB 조기 상환 요구가 이어지면서 기업들은 유동성 압박 리스크를 피하기 어려워질 전망이다.
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한 달 동안 '전환사채(해외전환사채포함) 발행 후 만기 전 사채 취득' 공시는 총 74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67건 대비 10.4%(7건) 늘어났다. 이달(1~10일)에도 관련 공시가 11건이 올라왔다.
콘텐츠 제작 업체인 에이스토리는 지난 9일 채권자의 풋옵션 행사에 따라 35억원 규모의 CB를 취득했다고 공시했다. 해당 CB는 지난 2021년 발행 이후 4년 간 행사된 풋옵션만 8번에 달한다.
코스닥 상장사인 FSN도 지난 2일 채권자의 전환사채 풋옵션 행사로 전환사채를 취득했다고 공시했다. 해당 전환사채에 대해 풋옵션이 행사된 건 지난달에 이어 한 달 새 두 번째다.
전환사채는 기업들이 많이 활용하는 자금 조달 방법이다. 일반 채권보다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 자금 마련에 용이하다. 또 전환사채는 채권 형태로 발행되지만 만기 이후 주식으로 전환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전환사채 발행 후 만기 전 사채 취득'은 회사가 사채를 발행한 이후 만기일이 되기 전에 채권자로부터 사채를 돌려받았다는 의미다.
기업이 전환사채를 발행하면 이를 매입한 채권자들은 전환하기 전에는 이자를 받을 수 있고 만기 도래 후 전환하면 주식으로 받을 수 있다. 주식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채권자 입장에서 기업의 주가 상승 시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반면 주가 하락 시 채권자는 주식으로 전환할 이유가 사라지는데 이 경우 채권자는 기업에 조기 상환을 요구하는 풋옵션을 행사하게 된다.
최근 들어 풋옵션 행사가 많아진 이유 역시 기업들의 주가가 부진을 겪고 있어서다. 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사라지면서 주식 전환이 아닌 조기 상환을 선택하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에이스토리는 전환사채 발행 당시인 지난 2021년 4월7일 4만4150원이던 주가가 지난 10일 기준 7440원까지 떨어졌다. 같은 기간 주당 전환가액도 CB 리픽싱을 통해 4만3372원에서 3만361원으로 낮아졌다.
FSN도 최근 1년 사이에 주가가 3700원대에서 1910원대로 하락했다. 풋옵션 행사로 취득하게 된 10회차 CB의 주당 전환가액 2749원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일부 기업들은 CB 매입에 따른 부채를 상환하기 위해 추가로 CB를 발행하기도 한다.
철강재 제조·판매 업체인 제이스코홀딩스는 지난해 11월13일 제3회차 CB에 대한 채권자의 풋옵션 청구로 290억원 규모 CB를 매입했다. 단기차입금으로 CB 매입 자금을 마련해 채권자에 원금을 돌려줬지만 해당 CB 매입 물량 중 215억원 규모를 재매각했다. 여기에 늘어난 차입금을 상환하기 위해 지난해 11월 400억원 규모 CB를 추가로 발행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상장사들의 주가 부진이 이어지면서 풋옵션 행사는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문제는 풋옵션 청구가 늘어나면 CB로 자금을 조달하려던 기업들의 재무 부담도 커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는 점이다.
IB업계 한 관계자는 “풋옵션 원금 상환으로 기업의 현금 흐름이 악화될 수 있고 이는 다시 주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자금을 메우기 위해 기업이 CB 추가 발행이나 유상증자를 단행하게 되면 기존 주주들의 지분 희석 우려도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