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345개 중 韓 156개 45% 넘어
실비환급·멘토링·2000만원 지원 등
정부·지자체 전폭적인 지원으로 결실
마케팅 요소 ‘보여주기식’ 수상은 우려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인 CES의 혁신상이 한국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오히려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13일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에 따르면 최근 폐막한 CES 2025에서 혁신상을 수상한 전체 345개 기업 중 156개가 한국 기업으로 45.2%에 달했다. 특히 인공지능과 디지털 헬스 분야에서는 각각 57%, 55%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성과를 보였다.
이러한 성과 이면에는 한국 정부와 지자체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코트라(KOTRA)를 통해 CES 혁신상 신청을 지원 중이다. 기업과의 1대 1 멘토링과 혁신상 신청 비용의 실비 환급(500달러), CES를 주최하는 CTA 관계자의 수상 노하우 세미나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일부 지자체의 지원은 더 파격적이다.
부산시는 참가기업당 최대 2000만원을, 수원시는 부스·장치비의 85%와 항공·운송·통역 비용으로 업체당 270만원을 지원한다. 제주도는 기업당 최대 300만원의 항공료를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은 해외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사례다.
네덜란드 등 일부 국가는 정부 차원의 지원 제도를 명시적으로 운영하고 있지만 비용 지원이 아니라 제품 시연과 네트워킹 이벤트 지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알려졌다.
우려되는 점은 이러한 지원이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한 스타트업 대표는 “과거 3D TV 기술이 CES 혁신상의 단골 아이템이었던 시절이 있었지만 현재는 사양된 분야"라며 “CES 혁신상은 이제는 너무 많은 기업이 마케팅 요소로 활용하면서 의미가 퇴색된 느낌이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성과로 이어지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CES 혁신상이 실제 판매 중인 제품이나 기술을 대상으로 하는 상이 아니라는 점이다.
CTA는 CES 홈페이지에 혁신상 수상 제품에 대한 실제 테스트나 검증을 하지 않음을 명시하고 있다. 실제 혁신상을 받은 기술이나 제품이 현실 세계에 구현되는지 여부는 수상의 고려 요인이 아니다.
심사 기준도 공학적 기능성, 심미성, 디자인 등 다소 주관적인 요소가 포함돼 있어 혁신상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심지어 기업들은 이런 점을 공략하기 위해 제출할 서류나 영상자료 제작을 돕는 컨설팅 업체 등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글로벌 투자자들의 신뢰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글로벌 기업들과 투자자들이 정부 지원과 컨설팅 등을 받아 혁신상을 수상한 한국 기업들을 평가절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단순한 수상 지원이 아닌, 실질적인 기술 개발과 시장 진출을 위한 지원으로 정책 방향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한 CES 참가 기업 관계자는 “입시학원처럼 CES 혁신상 수상 컨설팅을 받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다"며 “이런 방식으로 획득한 혁신상 수상 기술과 제품이 실제 성과를 내기는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혁신상 수상이 단순한 홍보 수단이 아닌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와 기업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