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 홍준표 대구시장의 발언으로 시작된 대구 취수원의 안동댐 이전 사업, 일명 '맑은물하이웨이사업'이 환경단체와 시민사회단체의 반발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이 사업은 중금속 오염 우려가 높은 안동댐 물을 대구의 새로운 식수원으로 삼고자 하며, 이를 위해 2조 원 규모의 예산으로 110㎞의 도수관로를 건설하려는 내용이다.
해당 사업이 경제적 타당성이 부족할뿐더러, 형평성 면에서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중금속 오염 물질로부터의 식수 안전성 우려를 완전히 해소하지 못했고, 과도한 토건 공사가 진행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특히 이 사업에 대한 환경부의 국가사업 강행 의지가 높고 국가물관리위원회의 의결 추진으로 인해 비판의 강도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낙동강네트워크와 지역 시민사회는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밀실 행정과 불필요한 토건 사업을 규탄하며 정책 변경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낙동강유역 환경단체 연대체인 낙동강네트워크와 대구·안동의 시민사회는 이를 “비경제적이고 실효성이 없는 엉터리 계획"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엉터리 계획을 철저히 바로잡아야 한다"며 강경한 입장이다.
낙동강네트워크는 16일 오전 10시 대구경북디자인센터 정문 앞에서 제3차 낙동강유역 물관리위원회 정책분과 회의 -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 변경 심의 관련 논의 규탄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