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 캐나다, 멕시코에 이어 중국마저 첫 관세 대상국가들로 지목해 압박을 가하기 시작했다. 여기에 유럽연합을 향해서도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며 으름장을 놔 '트럼프발 관세전쟁'이 본격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로이터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튿날인 이날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중국이 펜타닐(좀비 마약)을 멕시코와 캐나다에 보내고 있다는 사실을 근거로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대중국 관세 부과 시점과 관련해 “아마도 2월 1일이 될 수 있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대선 승리 직후 불법 이민 및 마약 유입 방지에 노력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취임 당일 멕시코와 캐나다에 각 25%, 중국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취임 당일 실제로 관세를 부과하지는 않고, 멕시코와 캐나다에만 2월 1일 각각 25%씩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이같은 소식에 중국은 시간을 버는 듯 했지만 하루 만에 분위기가 반전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유럽과의 무역 적자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중국은 미국을 악용하지만, 중국만 그런 것이 아니다. 유럽연합(EU)은 아주 아주 나쁘다(very, very bad)"고 말했다. 이어 “그들은 관세 부과 대상이 될 것(they're going to be in for tariffs)"이라면서 “그것이 (무역) 공정성을 찾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세 국가를 대상으로 관세 부과를 확정지은 것은 아니다. 이는 협상 과정에서 관세를 최대한 활용하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의 조기 재협상을 원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고율 관세 부과 카드도 활용하고 있다고 이날 보도했다. 트럼프 1기 정부 당시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대체해 만들어진 USMCA는 오는 2026년이 법정 재협상 시한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그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이 협정을 입맛에 맞게 수정하고자 관세를 동원해 판을 짜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윌리엄 라인시 통상 전문가는 “법적으로 최대한 문제가 되지 않기 위해 (관세 정책의) 속도 조절에 나서는 것 같다"며 “그는 자신이 윈하는 것을 얻기 위해 지렛대를 가장 잘 활용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관세 예고가 시작에 불과할 것에 힘이 실린다는 점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적자 해소를 강조하고 있는 만큼 한국도 관세 압박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영국 자산운용사 애버딘(abdrn)의 투자 책임자인 신야오 응은 “트럼프가 결국 무언가를 할 것이란 점을 상기시켰기에 앞으로 (상황이) 더 어려워질 것"이라며 “점진적인 관세 발표는 각국이 경기부양책을 펼치는 데 있어 시기를 지연시키거나 규모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 측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10% 관세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내지 않았지만 딩쉐샹 중국 국무원 부총리는 이날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연차총회 연설에서 “우리는 무역 흑자를 추구하지 않는다"며 “균형 잡힌 무역을 촉진하기 위해 더 경쟁력 있고 품질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수입하고 싶다"고 말했다.
특정 국가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미국을 겨냥한 발언리아는 분석이 나온다. 딩 부총리는 “어떤 나라도 무역전쟁에서 승리하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