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양극화’ 가속… 삼성·SK 최첨단만 힘 실린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1.23 15:59

美 ‘스타게이트’ 발표로 AI 메모리 수요 폭증 전망

낸드플래시는 감산 돌입…범용 제품 침체 심화

국내 기업들, AI 특화 포트폴리오 재편 가속화

TRUMP AI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오라클의 최고기술책임자(CTO)인 래리 엘리슨, 소프트뱅크의 CEO인 마사요시 손, 오픈AI의 CEO인 샘 알트먼이 대규모 AI 인프라에 대한 연설을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최대 5000억 달러 규모의 AI(인공지능) 민간 부문 인프라 투자를 발표했다. 사진=연합뉴스

반도체 시장의 양극화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집중하겠다는 5000억달러 규모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로 AI 반도체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범용 메모리 시장은 공급 과잉과 가격 하락의 이중고를 겪으며 감산에 돌입하는 분위기다.


초대형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착수로 호재 맞은 반도체

23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1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공식 발표했다. 초기 투자금 1000억달러를 시작으로 4년간 총 5000억달러를 투자해 텍사스를 시작으로 미국 전역에 대규모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현존하는 최대 규모 데이터센터의 100배에 달하는 규모다. 특히 이 프로젝트는 미국 내 10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핵심은 AI 반도체 수요다.




엔비디아의 차세대 AI 가속기 B300은 HBM 탑재량이 기존 129GB에서 288GB로 증가할 예정이며,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도 AI 추론에 특화된 가속기 개발을 확대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대규모 AI 인프라 구축은 반도체 업계 전반에 걸쳐 강력한 수요 증가를 견인할 전망이다. 현재 SK하이닉스는 AI용 HBM 시장에서 53%의 점유율로 압도적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삼성전자(38%)와 마이크론(5%)이 그 뒤를 잇고 있다.




낸드플래시 시장 중국發 가격하락 압박에 결국 '감산'

하지만 AI 분야가 아닌 반도체 시장에서는 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낸드플래시 시장은 심각한 침체를 겪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메모리카드와 USB향 낸드 범용 제품의 고정거래가격은 지난해 1월 4.72달러에서 12월 2.08달러까지 급락했다.


시장은 낸드플래시 제품의 가격인 올해 1분기 중에서 최대 15% 이상 더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교체 주기가 2년에서 3년으로 늘어난 것도 범용 메모리 수요 감소의 주요 원인이다


중국 업체들의 공격적인 시장 진입도 주목할 만한 변수다. 창신메모리는 2024년 월 7만장이던 생산능력을 20만장까지 확대하며 글로벌 시장의 1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양쯔메모리도 웨이퍼 투입량을 월 13만장에서 14만장으로 늘릴 계획이다.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중국 업체들은 주요 제조사 대비 50% 낮은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결국 시장 상황에 대응해 글로벌 메모리 기업들이 감산에 나서고 있다. 마이크론은 이미 낸드 웨이퍼 투입량을 15% 줄였으며,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 공장의 웨이퍼 투입량을 월 20만장에서 17만장으로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SK하이닉스도 10% 안팎의 감산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기업 AI 반도체 포트폴리오 강화로 대응 중

반도체 업체의 수익성 회복과 유지는 결국 고부가가치 제품을 개발하고 판매하는데 집중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중국산 저가 제품이 쏟아지는 레거시 시장에서는 당분간 수익성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에 국내 기업들은 시장 변화에 대응해 포트폴리오 재편을 가속화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32기가비트 DDR5와 HBM3E 생산을 확대하고 있으며, SK하이닉스는 올해부터 HBM 생산을 DDR5보다 우선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SK하이닉스는 HBM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하며 엔비디아향 공급을 주도하고 있다.


AI 수요 증가에 따른 기술 혁신도 가속화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300단 이상 고단 낸드플래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SK하이닉스는 QLC 기반 고용량 eSSD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 시장의 성장세가 뚜렷하며 성장은 AI 관련 제품이 주도할 것"이라며 “AI용 최신 제품과 범용 제품과의 양극화는 더욱 심화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강현창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