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청정에너지 투자액 3000조원…전기차·재생에너지에만 자금 쏠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2.06 13:32
Wind Turbines In Palm Springs, California

▲재생에너지(사진=AFP/연합)

지난해 글로벌 청정에너지에 대한 투자액이 3000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기차자동차, 재생에너지, 발전그리드,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주력 분야에만 자금이 몰리는 등 청정에너지 투자 추이에 양극화가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블룸버그 산하 에너지조사기관 블룸버그NEF(BNEF)의 '2025 에너지전환 투자 추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청정에너지 산업에 대한 투자액은 전년 대비 11% 증가한 2조1000억달러(약 3041조원)로 집계됐다.


고금리 등 경제적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저탄소 기술에 대한 투자열기가 작년에도 이어진 것이다. 다만 2023년까지 3년간 연간 투자액이 24~29%에 달했던 것을 감안하면 작년에는 상대적으로 부진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청정에너지 시장의 양극화 또한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즈니스 모델을 확보해 상업적으로 확장이 가능한 재생에너지, 전기차, 발전그리드, ESS 등에 대한 지난해 투자 규모는 전년대비 14.7% 증가한 1조9300억달러로 나타났다. 글로벌 투자자들의 자금이 사실상 해당 분야에만 모두 쏠린 셈이다.


투자 규모가 가장 컸던 분야는 전기차(7570억달러)로 나타났고 재생에너지(7280억달러), 발전그리드(3900억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전기 열, 수소, 탄소포집 및 저장(CCS), 원자력, 청정 해운 등의 분야에서 투자규모가 1550억달러로 전년 대비 23% 급감했다. 경제성, 기술 성숙도, 상업적 확장성 등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점이 투자자들로부터 외면받는 이유라고 BNEF는 지적했다.


청정에너지에 대한 투자 규모가 국가별로도 크게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청정에너지 투자액은 8180억달러로 전년보다 20% 늘어났다. BNEF는 “중국의 투자액 증가율은 글로벌 증가량의 3분의 2에 해당되는 수준"이라며 “청정에너지 모든 분야에서 투자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반면 미국의 경우 지난해 투자액이 3380억달러로 전년과 비슷했지만 유럽연합(EU)과 영국은 각각 3810억달러, 653억달러로 작년대비 모두 감소했다. 이를 모두 합쳐도 중국에 못 미치는 만큼 중국이 글로벌 청정에너지 시장을 사실상 주도하고 있는 것이다.


이밖에 인도와 캐나다가 청정에너지 투자를 전년대비 각각 13%, 19% 늘렸다고 BNEF는 전했다.


BNEF의 알버트 청 부 최고경영자(CEO)는 “정치적 불확실성과 고금리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전환이 얼마나 많은 성장을 이루었는지 이번 보고서가 보여준다"면서도 “글로벌 넷제로(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려면 산업의 탈탄소, 수소, CCS 등의 분야에서 더 많은 일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BNEF에 따르면 2050년 넷제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올해부터 2030년까지 매년 평균 5조6000억달러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편, 업계에서는 전기차 산업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내비치고 있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정체)이 이어지는 와중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재집권이 새로운 악재로 떠올랐지만 장기적인 관점엔 전기차 대중화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제너럴모터스(GM)의 커트 켈티 배터리 담당 부사장은 최근 BNEF가 개최한 연례 에너지 행사에 참석해 “우리는 더 많은 전기차를 출시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과정을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체이스의 줄리아 그린스펀 청정 모빌리티 책임도 “전기차 시대를 향한 열차는 이미 역을 떠났다"며 “속도는 다소 느려졌지만 그럼에도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국제청정교통위원회(ICCT) 측은 2028~2029년까지 미국에서 전기차 생산비용이 내연기관차보다 낮아져 미국이 전기차 경쟁에서 중국을 따라잡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