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DS, TSMC에 2개 분기 연속 매출 밀려…AI 반도체 주도권이 갈랐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2.09 09:54

최근 실적 발표선 실적 개선 폭 제한 전망 내놔

모바일·PC 부문 메모리 재고 조정이 지속된 탓

TSMC, 스마트폰 비수기 영향 상쇄 덕 호황기

TSMC·삼성전자 CI 조형물. 사진=연합뉴스·박규빈 기자

▲TSMC·삼성전자 CI 조형물. 사진=연합뉴스·박규빈 기자

삼성전자가 반도체 시장에서 대만 TSMC와의 격차를 좀처럼 좁히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인공 지능(AI) 반도체 시장의 주도권 확보 여부가 양사의 실적을 좌우함에 따라 양사 간 매출 차이는 점차 확대되는 모습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디바이스 솔루션(DS) 부문은 2023년 4분기 매출 30조1000억원, 영업이익 2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메모리 반도체 부문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기대에는 못 미친 실적이다.


반면 TSMC는 AI 반도체 수요 증가에 힘입어 같은 기간 매출 8684억6천만 대만달러(약 38조4000억원)를 달성하며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AI 활용이 집중되는 고성능 컴퓨팅(HPC) 부문 매출 비중이 53%에 달해 기존 핵심 사업이었던 스마트폰(35%)을 크게 웃돌았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삼성전자 매출은 2023년 2분기까지는 TSMC와 대등했으나, 3분기 3조원 차이로 벌어지더니 4분기에는 8조원까지 격차가 커졌다.


삼성전자는 2021년 메모리 반도체 호황 덕분에 글로벌 반도체 매출 1위를 차지한 바 있으나 2022년 하반기부터 시장 침체로 인해 TSMC에 역전을 허용했다. 이후 2023년 2분기에 한 차례 매출 1위를 되찾았지만 AI 반도체 시장 성장과 함께 다시 TSMC가 우위를 점하고 있다.




올해 1분기에도 삼성전자의 실적 회복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 DS 부문의 1분기 매출이 25조원대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는 최근 실적 발표에서 모바일·PC 부문의 메모리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반도체 실적 개선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범용 D램 수요가 둔화된 가운데 AI 서버용 고 대역폭 메모리(HBM)도 아직 본격적인 실적 반등을 이끌지는 못하고 있다. 파운드리 역시 수주 부진과 낮은 가동률이 지속되는 상황이다.




반면 TSMC는 1분기 매출 전망치를 전년 대비 32% 증가한 250억∼258억 달러(약 36조∼37조원)로 제시했다. 이는 삼성전자 예상 매출보다 10조원가량 높은 수준이다. TSMC는 AI 반도체 수요가 견조하게 유지되면서 스마트폰 비수기 영향을 상쇄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리서치 센터장은 “TSMC의 실적 개선을 이끄는 핵심 요소는 고부가가치 반도체 수요 증가"라며 “삼성전자와 인텔이 파운드리 시장에서 경쟁력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 TSMC의 독점적 지위가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이어 “AI 반도체 시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며, 이에 따라 해당 시장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대응하느냐에 따라 반도체 업체들의 실적 차별화가 심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규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