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봇 테마주 휴림로봇…AI로봇으로 번 매출 수년째 ‘0’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2.11 15:30

2월 들어 주가 50%↑, AI로봇 테마 수혜

그러나 수년째 AI로봇 관련 매출 ‘0원’

영업적자도 계속돼 주가 고평가 우려

휴림로봇

▲휴림로봇 CI.

휴림로봇의 주가 급등이 심상치 않다. 2월 들어 여러 차례 나온 인공지능(AI) 로봇 사업 관련 보도가 휴림로봇 주가에 호재로 해석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년간 휴림로봇에서 AI로봇 관련 매출은 발생하지 않고 있다. 작년 맺어진 관련 업무협약(MOU) 이후로도 별다른 사업적 변화가 보이지 않아 과도한 상승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휴림로봇 주가는 이달 들어서만 50% 이상 급등했다. 월초 1600원대에 거래되던 주식은 지난 7일부터 급등을 시작, 현재 2500원대까지 올랐다. 휴림로봇 주가가 2000원대에 거래된 것은 작년 8월 5일 이후 처음이다.


휴림로봇의 급등이 시작된 것은 이달 7일부터다. 당시 계열사이자 파트너사 이큐셀과 함께 중국 오마크사와 MOU을 맺은 사실이 부각되며 하루에만 주가가 22% 올랐다. 이번 협약은 스마트팩토리 구현에 자율이동로봇(AMR) 기술을 활용하는 사업을 위한 것이었다.



이어 다음 거래일이었던 지난 10일에는 SK텔레콤을 주축으로 SK그룹이 AI 로봇 사업을 본격화한다는 소식이 들리며 휴림로봇이 27% 강세를 띠었다. 2021년경 SK텔레콤의 AI '누구(NUGU)'가 휴림로봇의 서비스 로봇 '테미(temi)'에 사용되는 등 협업 이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즉 최근 휴림로봇의 주가 급등은 AI 테마 부각에 따른 수혜가 주요 원인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이같은 주가 과열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최근 수년간 휴림로봇이 AI 로봇 관련해 유의미한 매출을 올린 적도 없어서다.




작년 3분기 기준 휴림로봇이 거둔 누적 매출은 658억원, 이 중 대부분인 520억원이 자동차 내외장제 제조 부문에서 나왔다. 그나마 제조업용 로봇 부문에서 110억원가량 매출이 나왔는데, AI로봇을 포함한 서비스로봇 부문은 수년째 '0원'이다. 그나마 지난 2021년 테미를 통해 벌어들인 3억3200만원이 마지막 AI 로봇 관련 매출이다.


중국 오마크사와 맺은 AMR 관련 사업도 아직 실체가 불분명하다. 이미 휴림로봇은 작년에도 디퍼아이·에이로봇 등과 AI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 MOU를 맺었는데, 현재까지 관련한 사업 추진 소식이 들리지 않고 있다.




더불어 휴림로봇은 최근 몇 년째 영업적자가 지속돼 오고 있다. 지난 2021년 -30억원, 2022년 -75억원, 2023년 -19억원, 2024년 3분기 누적 -31억원을 기록했다.


이같은 적자 지속에도 불구하고 주가순자산비율(PBR)은 2.88배를 기록하며 고평가 가능성이 존재한다. PBR은 주가가 장부가치 대비 몇 배로 평가받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일반적으로 1배를 초과하면 프리미엄이 붙은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휴림로봇의 수익성이 바닥인 가운데 PBR이 2배를 훌쩍 넘어선 것은 시장의 평가가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주당순이익(EPS) 역시 -102원으로 적자를 기록하고 있어, 최근 주가 급등이 실적과 괴리가 크다.


게다가 올해 여름에는 그간 발행한 전환사채(CB)의 전환청구기간이 도래한다. 현재 휴림로봇이 보유한 CB는 제15회(150억원), 제5회(400억원)으로 각각 오는 7월, 8월부터 전환 청구가 가능해진다. 전환 가액도 각각 1705원, 2128원으로 현 주가보다 현저히 낮아 오버행 우려가 크다.


휴림로봇이 최근 보인 인수합병(M&A) 행보도 AI로봇 사업과는 거리가 멀다는 점이 문제다. 이미 휴림로봇은 지나친 문어발식 확장으로 비판받고 있으며, 일부 회사에는 페이퍼컴퍼니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작년 말 철회를 번복하고 인수한 이큐셀은 이차전지 관련 기업인 데다 결국 상장폐지를 피하지 못하고 현재 정리매매 절차를 받고 있다. 최근 오마크사와 MOU를 맺을 당시 함께 한 바로 그 회사다. 다른 계열사 라임트리, 에이치엘파트너즈, 휴림에이엠씨 등은 로봇 관련 기업이 아닐뿐더러 지속적인 적자로 연결 실적에 부담이 되고 있다.


한편 휴림로봇은 10일 1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공시한 상태다. 주가가 급등한 현재 급박하게 비교적 소액인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결정한 것은 높은 주가를 이용해 상대적으로 적은 신주발행을 하면서 자금을 확보해 놓으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작년 3분기 말 기준 휴림로봇의 부채비율은 45%, 유동비율은 267%인 데다 보유 현금만 1124억원으로 자금조달이 급박한 상황은 아니다. 이큐셀 인수 및 운영자금으로 약 400억원 현금이 나갔다고 가정해도 여전히 수백억원이 남아 있다. 특히 이번 유상증자 목적이 '타법인 증권 취득 자금'으로 됐으나 구체적인 투자처는 기재되지 않았다.



성우창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