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美연준 의장 “금리 인하 서두를 필요 없다…인플레 다소 높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2.12 08:58
Senate Federal Reserve

▲제롬 파월 미 연준의장(사진=AP/연합)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기준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11일(현지시간) 연방 상원 청문회에서 “현재 통화정책 스탠스가 이전보다 상당히 덜 제한적이고 경제는 강한 모습을 유지하는 상황 속에서 정책 기조를 조정하는데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통화정책의 제한을 너무 빠르거나 너무 많이 줄이면 인플레이션 진전을 막을 수 있다"며 “이와 동시에 너무 느리거나 적게 줄이면 경제활동과 고용을 약화할 위험이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중 책무에 대한 리스크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며 “정책은 우리가 직면한 위험과 불확실성에 대처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고 말했다.


또 미국 노동시장과 관련해 파월 의장은 “대체적으로 균형이 잡혔다"며 “상당한 인플레이션 압박요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미국 경제가 연착륙을 경험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내가 답변할 내용이 아니다"라고 했다.


인플레이션에 대해선 “지난 2년간 상당히 둔화했다"면서도 “연준의 2% 장기 목표에 견줄 때 다소 높은 상황에 머물러 있다"라고 진단했다.




연준이 통화정책 목표 달성 준거로 삼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작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2.6%를 보였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반영하는 근원 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작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2.8%로, 3개월 연속 같은 수준에 머물렀다.


파월 의장이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자 트레이더들은 9월까지 금리가 인하되지 않을 것이란 기대치를 유지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또 올해 금리 인하 횟수는 2회 이하로 예측됐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관한 의원들 질의엔 “연준의 일이 아니다"라며 직접적인 평가를 삼갔다.


트럼프 행정부가 업무중단 조처를 내린 소비자금융보호국(CFPB)과 관련한 질의에도 “다른 연방 규제기관에 관해 언급할 수 없다"라며 답변에 선을 그었다.


다만, 파월 의장은 “일반적인 자유무역 사례들은 논리적으로 여전히 타당하다고 본다"면서도 “하지만 규칙을 준수하지 않은 한 대국(大國)이 존재할 경우 그다지 잘 작동하지 않았다"라며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의 부정적 영향을 우회적으로 우려했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