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박종원 통상차관보 방미, 상호관세 등 관세조치에 한국이 포함되지 않도록 요청
최태원 SK그룹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중심 대미 통상 아웃리치 사절단도 활동 중
안덕근 산업부 장관, 조셉 윤 주한 미국대사대리 면담…교역·투자 협력 강화 방안 논의

▲관세 관련 협의를 위해 미국을 찾은 박종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 담당 차관보가 17일(현지시간) 워싱턴 근교 덜레스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미 백악관과 상무부, 무역대표부(USTR)에 한국이 철강·알루미늄 등 제반 관세 조치에 포함되지 않도록 공식 요청했다. 여기에 민간사절단의 활동 내용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린다. 정부와 민간의 전방위 대응이 관세부과 제외국이라는 결과를 낳을 지 주목된다.
2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박종원 통상차관보는 지난 17일부터 20일까지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해 이같이 요청했다.
박 차관보는 백악관, 상무부, USTR에 양국 간 긴밀한 경제관계 및 우리 기업의 대규모 대미 투자에 따른 미국 경제에 대한 기여를 설명하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양국 간 거의 모든 품목에 대한 관세가 이미 철폐되었음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박 차관보는 한국이 상호관세, 철강ㆍ알루미늄 등 제반 관세 조치에 포함되지 않도록 요청했다.
박 차관보는 또 조만간 고위급 협의를 통해 주요 현안 및 양국간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할 것을 제안했다.
나아가 박 차관보는 미 의회 주요 인사들을 면담하고, 우리 기업의 대미 투자를 기반으로 한-미 간 공급망 연계가 증진된 바, 인프레이션감축법(IRA) 및 반도체법 보조금 등 우리 기업에 대한 우호적인 환경을 지속적으로 조성해줄 것을 주문했다.
정부는 미국의 무역·통상조치에 대해 고위급에서 지속적으로 협의해나가고, 업계와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우리 기업의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대응해나간다는 방침이다.
또 박 차관보가 이번 일정을 통해 안덕근 산업부 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의 면담 등을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안 장관도 조만간 방미 일정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앞서 최태원 SK그룹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대미 통상 아웃리치 사절단 활동을 위해 지난 19일 출국했다.
최 회장을 비롯한 20여개 그룹 관계자들로 구성된 사절단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백악관 고위 당국자와 미국 의회 주요 의원들과 만나 관세를 비롯한 통상 정책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해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이날 조셉 윤 주한 미국대사대리를 면담하고 한미 간 교역·투자 및 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안 장관은 한미 교역·투자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며 양국 관계가 첨단산업·경제 동맹 수준으로 발전했다고 평가하고, 미국 신정부에서도 양국 협력이 확대되고 강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또 한미 간 배터리, 반도체 등 첨단 분야의 협력과 함께 조선, 에너지 등 분야의 파트너십도 더욱 심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면서 한미 간 교역·투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양측의 주요 제도와 정책이 일관되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윤 대사대리는 70여 년 동안 다방면에서 깊숙이 관계를 맺어온 한미동맹이 더욱 굳건해질 수 있도록 미국대사관 차원에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