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 벗어난 코스피의 질주…3월 2700 가나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2.22 12:03

2월 코스피 수익률 5.45%, 연초 상승률 10.66%
연기금·외국인 순매수세 지속…거시 환경 개선 영향
트럼프 관세정책·과열 우려 등 변수 여전

코스피 2,650대 강보합 마감

▲2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사진=연합뉴스

코스피가 연초 강세를 이어가며 2700선 돌파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연기금의 지속적인 순매수와 외국인 매도세 완화, 거시 경제 환경 개선 등으로 연초 이후 코스피 상승률이 10%를 넘어섰다. 단,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단기 과열 가능성 등 변수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02% 오른 2654.48에 마감했다. 이날 보합권으로 마무리하며 2월 코스피 수익률은 5.45%를 기록 중이다. 지난 1월에도 4.91%로 마감해 연초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다. 지수의 올 연초 이후 상승률은 총 10.66%다.


당초 예상과는 여러모로 다른 모습이다. 코스피 지수는 작년 4분기 내내 2400~2500대를 오가며 좀처럼 기를 펴지 못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선 승리로 반도체, 이차전지 등 대미 수출 중심 국내 기업들의 부진이 예상된 데다, 계엄을 비롯한 정치적 혼란도 발생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미국 금리 인하 속도가 예상보다 지연됐고, 원·달러 환율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외국인 투자자가 대거 이탈하는 점도 문제였다.



올해도 이런 요인이 지속되며 코스피가 상승 탄력을 받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됐다. 가장 중요한 반도체 업종이 공급망 불확실성, 판가 변동성이 커 실적 개선을 장담하기 어려웠다. 환율은 여전히 1400원대 중반에 머물렀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을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소비 부진, 부동산 시장 침체, 정치 불확실성 지속도 코스피 상승 제한 요인으로 꼽혔다.


이런 예상을 뒤엎고 연초 코스피가 상승세를 띠는 이유는, 작년 말 악재가 선반영된 동시에 조금씩 우호적인 신호들이 나타나서다. 우선 코스피 상승에 큰 축인 연기금의 경우 올해 들어 줄곧 순매수세를 이어가고 있다. 1~2월 연기금의 코스피 순매수 규모만 3조원을 넘어섰다. 작년 하반기에만 21조원을 팔아치웠던 외국인의 순매도세도 올해 2조7000억원 수준으로 크게 축소됐다.




거시적인 환경도 한결 나아졌다. 연초를 기점으로 미 국채 금리가 약세로 돌아섰으며, 이에 따라 원·달러 환율도 소폭 하락했다. 21일 기준 원·달러 환율은 1438.50원 수준이다. 이에 코스피+코스닥 거래대금도 23조원대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2024년 평균 19조원을 상회한다.


이 외에도 중국 경기 회복 조짐, 한한령 해제 기대감, 반도체 업황 개선 등 긍정적 요인이 다수 존재한다. 오는 3월 말 공매도가 전면 재개되는 것도 증시 정상화로 받아들여져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기대감을 높이는 중이다.




이에 투자자들은 코스피가 상승세를 이어가 이달 말, 또는 3월 중 2700선을 탈환하는 것을 기대하는 중이다. 단 2700선 돌파를 위해서는 아직 여러 변수가 산재하다는 것이 증권가의 분석이다. 먼저 올해 글로벌 주요 증시 중 코스닥 및 코스피 지수가 홍콩H지수 다음으로 상승률이 높은 만큼 단기 과열 양상일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식힐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한국에 어떻게 직접적으로 칼날을 들이댈지도 미지수다. 우선 먼저 표적이 됐던 멕시코, 캐나다, EU, 일본의 경우 협상을 통해 관세를 유예하거나 완화해 합의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이 관세 정책 대상이 될 경우에는 단기 악재로 작용하겠지만, 대미 투자 확대 등 대응에 따라 이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투자전략부는 “트럼프 정책 우려 강도에 따라 수혜업종과 피해업종이 순환한다"며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된 이후 내수 부양책 등 재정 확장 정책 기대감을 고려하면, 내수주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성우창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