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홈플러스 후폭풍…한신평, 사모펀드 리스크 ‘체계화’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4.02 14:34

홈플러스 사태 계기로 신용평가 항목 정비

계열지원 가능성 소멸 시 등급 하향 조정

인수금융 부담 등 주요 리스크 요인 분석

재무구조 변화 집중 모니터링 방침 제시

홈플러스 신용등급 하락부터 회생까지…MBK '칼춤' 어디까지

▲MBK파트너스, 홈플러스 CI

MBK파트너스의 홈플러스 인수 이후 불거진 신용등급 논란을 계기로, 신용평가사들이 사모펀드(PEF)가 대주주로 참여한 기업에 대한 신용도 평가 항목을 보다 명확히 정리해 시장에 제시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2일 한국신용평가는 '사모펀드의 경영참여 확대로 부각되는 신용도 점검 항목'이라는 제목의 특별보고서를 통해, 사모펀드가 경영권을 확보한 경우 신용등급 평가에서 어떤 항목을 중심으로 판단하는지에 대해 종합적으로 설명했다.


한국신용평가는 보고서에서 “일반적인 신용도 평가시 다양한 항목들에 대해 종합적인 판단이 이루어지고 있어, 사모펀드의 지배구조 참여로 신용도 분석의 체계가 크게 달라질 일은 거의 없다"고 밝혔다.



사모펀드 이슈가 집중 조명되는 가운데, 시장에서 자주 오해되거나 혼선이 발생한 항목을 중심으로 평가 논리를 정리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번 설명의 배경에는 MBK파트너스가 인수한 홈플러스 사례가 있다.




MBK는 2015년 홈플러스를 인수한 뒤 대규모 배당과 자산 유동화 등을 통해 투자금을 회수했으나, 이로 인해 홈플러스의 재무구조는 점차 악화됐다.


유통업 업황 부진과 맞물려 수익성이 떨어졌지만, 한동안 A급 신용등급이 유지되면서 “등급이 과도하게 유지됐다"는 시장의 비판이 제기됐다.


일부 채권자는 “사모펀드의 회수전략에 따른 리스크가 등급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며 신평사 책임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번 보고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일정 부분 수용해, 사모펀드가 경영에 참여한 기업에 대해 어떤 점을 중점 점검하는지를 항목별로 구체화했다.


한신평은 특히 “지배구조가 바뀌면서 기존에 인정되던 '유사시 계열지원 가능성'이 사라지는 경우, 신용등급이 조정될 수 있다"고 명시했다.


대표적으로 SK렌터카는 2023년 자체신용도 개선으로 A+ 등급을 부여받았으나, 이후 사모펀드가 최대주주가 되면서 유사시 지원 가능성이 제거돼 2024년 A등급으로 하향 조정된 바 있다.


보고서는 이 밖에도 사모펀드가 경영권을 보유한 기업의 신용도를 판단할 때, 사업 경쟁력의 변화 여부와 운영 효율화를 통한 수익성 개선, 투자 및 배당 소요에 비해 현금흐름이 얼마나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 등을 핵심적으로 들여다본다고 밝혔다.


또 인수금융 부담이나 SPV(인수목적회사)와의 합병 가능성 등으로 인해 재무구조가 악화될 가능성도 중요한 평가 요소로 제시됐다.


또 회사채 관리계약서상 '지배구조 변경 조항'에 따라, 최대주주 변경 시 회사채 조기상환 요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리스크로 지적됐다.


실제로 인수 직후 자금재조달 리스크가 부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사모펀드나 기존 대주주가 유동성 대응 수단을 사전에 마련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됐다.


ESG 평가 항목 중 지배구조(G) 관련 요소 역시 모니터링 대상임을 언급했다.


한국신용평가는 “지배구조 변경 후 장기간 경영 및 재무정책을 모니터링하는 가운데, 재무전략·계열 구조·경영진 구성·공시 등 지배구조 요소를 점검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강현창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