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유예 발표에 27.7원 급락
미중 관세갈등·경기침체 불안감 상존
“무역전쟁 격화시 달러 안전자산 신뢰↓”
“상반기 환율 상단 1520원까지 열어놔야”

▲10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일 대비 27.7원 내린 1456.4원으로 집계됐다.
원·달러 환율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에 따라 연일 요동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한때 국내 정치 불확실성 해소에도 미국과 중국 간에 관세 전쟁에 위험회피 심리가 강해지면서 2009년 3월 이후 16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를 발표하면서 하루만에 27원 넘게 급락했다.
전문가들은 펀더멘털 측면에서의 부담과 수급 이슈, 무역 분쟁에 대한 불확실성 등 다양한 악재들로 인해 환율이 높은 수준까지 올랐지만, 추가 상승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미국의 소비 둔화, 이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 여전히 시장에 잔존하고 있고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바탕으로 미국 우선주의를 압박하고 있어 환율의 추세적인 하락을 기대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분석이다.
10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일 대비 27.7원 내린 1456.4원으로 집계됐다.
환율은 전날보다 38.1원 내린 1446.0원으로 출발한 뒤 장 초반 1450원대에서 거래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기본관세 10%만 부과하겠다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국에 부과되는 관세는 기존 25%에서 10%로 낮아졌다. 다만 미국이 중국에 부과하는 관세는 즉시 125%로 인상했다.
이번 관세 유예 발표에도 금융시장은 여전히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미국과 중국 간에 관세 갈등이 현재진행형인데다 미국 소비 둔화, 경기 침체에 대한 불안감도 상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종잡을 수 없을 정도로 변동성이 커진 점도 투자자들이 촉각을 곤두세우는 요인이다.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전날 위안화 강세 폭은 이틀 전 약세를 되돌리는 수준에서 그친 만큼 여전히 불확실성에 대비해야 한다"며 “수입업체 결제를 비롯한 저가매수가 시장에 유입되면서 환율 낙폭을 제한하고, 거주자의 해외주식투자를 위한 환전 수요 역시 하방을 경직시키는 재료"라고 설명했다.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미국 국채 금리도 장기물 위주로 급등하면서 미국 달러의 안전자산 신뢰도도 약화됐다. 향후 글로벌 무역전쟁이 격화되고,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질 경우 달러의 안전자산 신뢰도는 더욱 약해질 수 있다. 이민혁 KB국민은행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장기 국채금리 급등 등 채권시장 반응을 고려해 상호관세 유예 조치를 발표했지만, 금리 하락은 제한적이었다"며 “안전자산 신뢰 회복은 아직 요원하다"고 말했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전문가들은 상반기 환율 상단 전망을 1520선까지 확대했다. 조병현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달러 대비 원화는 상당한 약세를 이미 시현했지만, 달러가 강세로 흘러갈 경우 원·달러 환율은 추가적인 상승 압력에 노출될 수 있다"며 “미국의 소비 둔화, 이에 따른 경기 침체가 시장에 잔존하고 있고, 관세를 바탕으로 한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압박이 강요되는 환경도 달러의 추세적인 하락을 기대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결론적으로 미국 소비 둔화, 경기 침체에 대한 불안감이 점증하는 상황임을 감안하면 달러 인덱스의 재상승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며 2분기 환율을 1428~1518원으로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