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AFP/연합)
미국 정부가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스마트폰, 컴퓨터, 반도체 등의 전자제품을 제외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관세에 따른 제품 가격 상승으로 미국인들이 입게될 피해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13일 블룸버그통신, CNBC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관세국경보호국(CBP)은 지난 11일 밤 '특정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 제외사항'에 대해 공지했다.
공지된 내용에 따르면 스마트폰, 반도체(제조장비 및 SSD), 컴퓨터에 이어 노트북,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칩, 태양광 셀, 평면 디스플레이, 플래시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도 상호관세 적용 대상에서 빠진다. 기본 관세(10%)뿐만 아니라 이른바 '최악 침해국'에 대해서 적용된 국가별 상호관세도 적용받지 않는다.
이에 따라 해당 제품들이 중국에서 생산되더라도 125%의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펜타닐 문제로 중국산 제품에 부과한 20% 보편관세에는 해당이 된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또한 스마트폰, 노트북 등 제품은 상호관세에서 면제받지만 다른 유형의 관세가 적용될 수 있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의약품 등에 대해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강조해왔다.
이와 관련,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12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미국은 반도체, 스마트폰, 노트북 등과 같은 핵심 기술을 생산하는데 중국에 의존할 수 없다고 트럼프 대통령이 강조해왔다"며 “대통령이 세계 거대한 테크 기업들로부터 대미 투자를 확보한 것도 이 때문"이라고 밝혔다.
백악관 한 관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곧 반도체에 대한 무역안보 조사를 실시하겠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블룸버그 역시 이번 전자제품의 상호관세 면제 조치는 업계를 강타할 새로운 품목별 관세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다만 그 경우에도 대(對)중국 125%의 상호관세보다는 관세율이 낮을 것으로 관측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확장법 232조를 활용해 철강 및 자동차에 각 25%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반도체 외에도 구리, 의약품 등에도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품목별 관세가 부과되거나 부과 예정인 제품들은 모두 상호관세를 면제받고 있다.
블룸버그는 이번 조치로 삼성전자, 애플, TSMC 등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내다봤다. 애플의 경우 아이폰 90% 가량이 중국에서 생산되기에 상호관세로 아이폰 가격이 급등할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중국산 제품에 54%의 관세율이 적용되더라도 아이폰16 프로 맥스(1TB)는 현재 1599달러에서 23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스마트폰 40~50% 정도를 베트남에서 생산하는 삼성전자도 수혜가 예상된다. 미국 정부는 베트남에 46%의 상호관세를 부과했고 지금은 90일 유예 조치가 적용된 상태다.
웨드부시 증권의 댄 아이브스는 “기술주 투자자들에겐 마치 꿈과 같은 시나리오"라며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 빅테크와 테크 업계 전반은 이번 주말 안도의 한숨을 내쉴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