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현지시간) 관세 협상을 위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만난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사진=트루스소셜)
미국과 일본이 16일(현지시간) 첫 관세 협의에서 양국이 조기 합의에 이르도록 하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았다. 이번 미일 협상은 한국을 포함해 미국 방문을 앞두는 다른 국가들에게 의미 있는 '참고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블룸버그통신, 로이터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일본 측 관세 담당 각료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은 이날 미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50분간 면담했고, 이어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과 75분간 협상에 나섰다.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협상한 직후 취재진과 만나 “양측이 솔직하고 건설적인 자세로 협의에 임해 가능한 한 빨리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합의했다"며 “이번 회담으로 관세가 즉각 중단되지는 않지만 이달 말에 예정된 2차 회담을 위한 준비가 진행 중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2차 회담 날짜는 아직 정해지진 않았지만 미국은 90일간의 상호관세 유예 기간이 끝나기 전에 협상을 마무리 하는 것처럼 보였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과의 협상을 최우선순위라고 말했다"고 했다.
그는 또 “우리는 되도록 조기에 하고 싶은 생각은 있지만, 교섭의 향후 진전은 아직 알 수 없다"며 신중한 태도를 나타냈다.
아울러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이번 협상 의제와 관련해 “환율 이야기는 나오지 았다. 환율은 양국 재무장관이 주로 논의할 것"이라며 안보(방위비), 자동차 관세, 농산물 무역 등의 논의 여부에 대해서 답변하지 않았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애초 일본과 관세 협상에 직접 참석할 것이라고 밝혔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아카자와 경제재생상과 면담한 이후 양측 관세 협상에는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이미 철강·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했고, 일본을 상대로 상호관세 24%를 발효하기로 한 상태다.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관세 협상에 앞서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면담한 것과 관련해 “일본과 미국 경제가 모두 강해지는 포괄적 합의를 가능하면 조기에 실현하고자 한다는 이시바 시게루 총리 메시지를 전달했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것을 해야 한다'는 식으로 강하게 말한 것은 전혀 없다"며 “단적으로 말하면 '일본이 협의의 최우선'이라고 언급했다"고 전했다.
이어 “협의에는 자신도 리더십을 발휘할 것이므로 확실히 각료 간에 (결과를) 채우라는 생각이었다고 본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따뜻함과 배려를 느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카자와 경제재생상과 면담 이후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 계정에 올린 글에서 “일본 무역 대표단과 막 만나서 큰 영광"이라며 “큰 진전(big progress)"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