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 적수 없다”...KB금융, 순이익-자본비율-비은행 ‘트리플크라운’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4.28 05:30

4대 금융지주 순이익 총 5조원 육박
KB금융>신한>하나>우리금융지주 순

우리금융 제외 지주 3사 순이익 증가
CET1 비율 KB금융 유일하게 13.6%대

KB금융, 추가적 자사주 매입·소각 발표
하나금융, 실적 3위임에도 배당은 2위

4대 금융지주

▲4대 금융지주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지배기업소유주지분순이익은 총 4조9289억원이었다.

KB금융지주가 4대 금융지주 가운데 순이익, 보통주자본(CET1)비율, 비은행 비중 등 모든 영역에서 1위를 차지했다. 금융지주 전반적으로 지난해 1분기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관련 일회성 요인에 따른 기저효과가 있었다는 점을 고려해도, 경쟁사가 넘보기 어려울 정도로 비은행부문 성과가 양호해 실적, CET1 비율 등 다른 부문에서도 격차를 확대했다는 평가다.




시장 안팎에서는 올해 KB금융이 연간 순이익 5조5000억원을 상회하며 최소 45% 이상의 주주환원율을 달성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우리금융지주만 역성장...4대 금융, 순이익 5조 육박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지배기업소유주지분순이익은 총 4조9289억원이었다. 회사별로 보면 KB금융이 1조6973억원으로 1위였고, 신한지주(1조4883억원), 하나금융지주(1조1277억원), 우리금융지주(6156억원) 순이었다. 이 중 우리금융지주는 일회성 비용, 미래성장 투자 확대에 따른 판관비 증가로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5.2% 감소했다.



우리금융을 제외한 다른 지주사들은 순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특히 KB금융의 경우 작년 1분기 KB국민은행의 ELS 손실 보상 충당부채 전입 기저효과가 소멸되면서 순이익이 62.9% 증가했다. KB국민은행은 작년 1분기 ELS 손실보상으로 8620억원의 충당부채가 발생하면서 당기순이익이 3895억원에 그친 바 있다.


여기에 KB증권, KB손해보험, KB국민카드 등 비은행 계열사들이 대체로 선전하면서 KB금융그룹 실적에 든든한 버팀목이 됐다. KB금융의 1분기 당기순이익 기준 비은행 기여도는 42%로, 신한지주(29%), 하나금융지주(16.3%) 등 타사와 비교해도 압도적이다.




4대 금융지주 1분기 실적 주요 내용.

▲4대 금융지주 1분기 실적 주요 내용.


KB금융, CET1 비율 격차 확대...3천억 자사주 소각

그룹이 보유한 손실흡수능력과 재무안정성을 보여주는 지표이자 주주환원의 기반이 되는 CET1비율도 KB금융이 우위였다. KB금융은 1분기 CET1 비율 13.67%로 전년 동기(13.40%) 대비 큰 폭으로 상승했다. 신한지주(13.27%), 하나금융지주(13.23%)가 13.2%대를 기록했고, 우리금융지주는 12.42%였다. KB금융은 밸류업 프레임워크에 따라 2024년 연말 기준 CET1 비율 13%가 넘는 잉여자본은 이듬해 1차 주주환원 재원으로, 올해 연중 13.5%를 초과하는 잉여자본은 하반기 자사주 매입 및 소각 재원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을 갖고 있다. 즉 KB금융의 CET1 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총주주환원율도 증가하는 구조다.


이에 힘입어 KB금융은 4대 금융지주 중 유일하게 추가적인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내놨다. KB금융은 3000억원 규모의 추가적인 자사주 매입·소각을 결의했다. 이와 달리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는 이번 실적발표에서 기존에 내놓은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안을 어떻게 이행하고 있는지 설명하는데 중점을 뒀다.


예를 들어 신한지주는 상반기 취득 예정인 자기주식 총 6500억원 가운데 2857억원을 취득 완료했다고 했다. 3월 말 기준 43.9%의 자사주를 취득한 것으로, 취득을 마치면 즉각 소각한다는 방침이다. 하나금융지주는 당초 올해 3월 4일부터 9월 5일까지 4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 소각할 계획이었지만, 이를 상반기 중에 완료하겠다고 강조했다. 신한지주와 하나금융지주 모두 '속도감 있는' 주주환원정책에 방점을 찍은 것이다. 우리금융은 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진행 중이다.



'절치부심' KB, 배당금 상향...하나금융 바짝 추격

KB금융그룹.

▲KB금융그룹.

1분기 주당배당금은 KB금융이 하나금융지주를 아슬아슬하게 제쳤다. KB금융은 1분기 주당배당금으로 912원을 결의했는데, 이는 작년 4분기 배당금(804원) 대비 증가한 금액이다. KB금융은 이익 대비 배당성향이 낮다는 시장의 비판을 수용해 올해 배당총액은 분기 3350억원, 연간 1조3400억원 수준으로 상향했다.


이에 맞서는 하나금융지주도 만만치 않다. 하나금융지주는 1분기 배당금 906원으로 순이익 기준 2위인 신한지주(570원)를 큰 폭으로 제쳤다. 하나금융지주는 올해 연간 현금배당총액을 1조원으로 고정하고, 분기별 균등배당을 본격적으로 도입한다. 하나금융의 분기배당금은 작년 1분기(주당 600원)과 비교해도 큰 폭으로 늘었다.


시장에서는 KB금융이 올해 연간 실적에 대한 강력한 확신을 바탕으로 현금배당을 확대한 것으로 평가했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KB금융의 자사주 추가 취득은 그만큼 회사에서 CET1 비율 관리에 자신감이 있다는 것"이라며 “CET1 비율만 양호하다면, 주주환원율 확대가 얼마든지 용인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시그널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올해 KB금융의 총주주환원율은 최소 45% 이상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진정한 밸류업 기대주로 재평가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나유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