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생명, 내년까지 SBI ‘단계적 인수’
SBI, 예금·대출 영업 등 수익성 증대
시장 지위 확대로 ‘1강 굳히기’ 전망
OK금융 M&A에 양강구도 예상도

▲교보생명.
교보생명이 저축은행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의 인수를 선언했다. 교보생명의 브랜드 파워와 연계 효과를 앞세운 수익성 증대가 예상되는 가운데 경쟁구도가 재편되는 등 저축은행 업계에 나타날 파장에 시선이 모인다.
교보, SBI저축은행 품는다…브랜드 후광에 '好好'
교보생명은 28일 개최한 이사회에서 SBI저축은행 지분 50%+1주를 내년 10월까지 단계적으로 인수하기로 결의했다고 밝혔다.
SBI저축은행 최대주주인 일본 SBI홀딩스로부터 SBI저축은행 지분을 매입하는 것이며 인수금액은 약 9000억원이다. SBI홀딩스는 현재 자사주 14.77%를 제외한 85.2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교보생명은 금융당국으로부터 대주주 승인을 받은 다음 하반기 중 30%(의결권 없는 자사주를 감안한 실제 의결권 지분 35.2%)의 지분을 취득할 예정이다. 이후 금융지주사 전환 시기에 맞춰 내년 10월 말까지 50%+1주(의결권 58.7%)를 인수한다.
금융권에선 양 측의 필요가 맞아떨어진 결과라는 해석이 나온다. 금융지주사 전환 작업에 있어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가 필수적인 교보생명과, 대형 금융그룹 계열사 편입에 따라 영업 안정성 등 후광효과를 노릴 수 있는 SBI저축은행 측이 고루 시너지 효과를 얻을 것이란 전망에서다.
특히 SBI저축은행 입장에선 국내에서 인지도가 높은 '교보' 브랜드 편승을 통해 브랜드 신뢰도와 자본력이 한층 높아지는 효과를 누릴 것으로 예상된다.

▲SBI저축은행.
당장 SBI저축은행으로선 현재 영위 중인 예금·대출 관련 영업과 판매채널 확장으로 수익성 증대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교보생명의 금융고객 연계 효과에 따라 보험계약자 등 타 업권 고객층을 저축은행 상품으로 유인하거나, 교보생명과 함께 다양한 금융상품 개발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일례로 보험금 지급 계좌로 활용하거나 퇴직연금 등 보험-저축은행을 연계한 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SBI저축은행은 전체 대출의 56%가 개인 신용대출 등 가계대출로 구성돼 업계 평균 대비 중·저신용자를 공략한 영업에 강점을 지니고 있다. 보험사에서 대출이 거절된 고객을 개인 고객이 많은 특징이 있는 SBI저축은행으로 유입시키는 등 강점을 적극 발휘할 디딤돌이 될 가능성도 있다.
아울러 교보생명 계열사인 증권사나 자산운용사와의 추가적인 협력도 기대할 수 있다. 저축은행 업권에서 선제적으로 디지털 금융, 토큰증권(STO) 등 신사업 분야에서 역량 확대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막강한 1강' 체제 굳히나…OK금융과 '양강'도 예상
업계에선 SBI저축은행의 시장 지위가 더욱 공고해지면서 1강 체제를 굳힐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고객 기반만 하더라도 교보생명앱(230만명)과 SBI저축은행 사이다뱅크앱(140만명)을 합한 약 370만명의 잠재적 금융고객군을 확보하게 된다. 추후 교보생명과의 시너지를 통해 SBI저축은행의 자산 규모가 더 불어날 가능성도 있다. SBI저축은행의 자산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14조289억원에 달한다. 자본총계 1조8995억원, 거래 고객 172만명을 보유해 업계 1위다.
대형 금융그룹 계열 저축은행의 등장이 추가적인 인수합병(M&A)을 촉진시킴으로써 양강구도로 경쟁 구도 재편을 이뤄낼 가능성도 있다. OK금융그룹은 앞서 페퍼저축은행의 실사에 나서는 등 인수를 고려했지만 페퍼 측 인수가 무산되며 상상인저축은행 인수에 집중하는 구도로 변모한 상태다.

▲OK저축은행.
상상인저축은행은 OK금융이 지난해부터 꾸준히 인수를 검토해 왔다. 저신용자 대상 소비자금융을 모토로 하는 OK금융에게 상상인이 포트폴리오 확장상 전략적 매물로 평가받는다. 앞서 시장에서 OK금융이 페퍼와 상상인을 모두 품는 복수 인수 시나리오도 제기된 만큼 OK측의 인수 의지는 강하지만 가격 협상 과정상 부진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번 교보와 SBI의 융합으로 SBI의 경쟁력 강화가 예고된 만큼 상상인 인수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단 평가다. OK금융이 상상인을 인수할 경우, 두 회사의 합산 총자산은 16조원대에 달한다.
한편, 양강구도로 재편 시 중소형 저축은행의 경우 자본력에서 밀리게 되고, 이는 상품개발이나 신사업 확대, 채널 경쟁에서 압박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업계는 이번 거래 성사 시 현재 업계의 과제 중 하나인 'M&A 활성화'에 있어선 긍정적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다. 보험사와 저축은행의 협업에 따라 향후 타 금융그룹의 저축은행 인수에 있어 촉매제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연임 이후 최대 과제 중 하나로 M&A 활성화를 택하고 금융당국에 추가적인 규제 완화를 건의할 예정임을 밝혔다. 그는 지난달 말 정기총회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금융당국이) 관련 규제를 더 자유롭게 해줬으면 좋겠다"며 “그래야 더 자본력 있는 곳이 저축은행 업계에 진입할 수 있고, 나가고 싶은 곳은 쉽게 팔고 나갈 수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