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이후 고3 청년 대상 청년정책 설명회 제공 제안 교육부 수용
‘온통청년’ 플랫폼 국민비서 연계…맞춤형 정책정보 푸시 알림 제공
청년정책 자료관리 권한 확대 등 4건 정책 제안 중앙정부 수용

▲충남도가 자체 개발한 청년정책 통합 플랫폼 '온통청년'이 중앙정부 정책에 공식 반영되면서 청년정책 분야의 정보 접근성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충남=에너지경제신문 김은지 기자 충남도가 자체 개발한 청년정책 통합 플랫폼 '온통청년'이 중앙정부 정책에 공식 반영되면서 청년정책 분야의 정보 접근성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도는 최근 국무조정실 주관으로 열린 제24차 지방자치단체 청년정책책임관 회의에서 '온통청년' 플랫폼의 기능 고도화를 위한 건의가 공식적으로 수용됐다고 전했다.
이번 결정에 따라 '온통청년'을 통해 수집된 정책 정보는 국민비서 푸시 기능과 연계돼 전국 청년들에게 맞춤형으로 전달될 예정이다. 이는 청년들이 직접 정보를 찾아야 했던 기존의 수동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필요한 정책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능동형 정보 전달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앞으로는 '25년 달라지는 주요 청년정책', 지역 청년 행사, 청년참여 기회 안내 등 다양한 정보가 국민비서를 통해 알림 형태로 제공될 계획이다.
도는 정책 제공의 시의성을 높이기 위해 '온통청년' 기초지자체 자료 입력 권한을 광역지자체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정부로부터 수용받았다. 이를 통해 도는 도내 전 지역의 청년정책 정보를 일괄적으로 취합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하게 됐다고 밝혔다.
남성연 도 청년정책관은 “온통청년은 단순한 정보 모음 플랫폼을 넘어 청년들에게 필요한 정책을 쉽고 빠르게 전달함으로써 정책 체감도를 높이고 있다"며 “지난번 청년기업 수의계약 한도 상향 건의가 중앙정부에 의해 수용된 데 이어, 이번 결정은 청년정책 홍보 효과를 전국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충남도는 이 외에도 청년참여 위원회 지정 관련 평가 기준 개선, 수능 이후 고3(예비청년) 대상 정책 체험 프로그램 도입 등 총 4건의 정책 제안이 정부에 의해 수용되며 청년정책 혁신의 모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도는 앞으로도 정부24와 연계한 청년정책 알림 서비스 확대, 청년친화도시 지정 확대 등 청년정책 발전 방향에 대해 중앙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