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대미수출 2개월 연속 하락…美관세 선반영?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5.14 16:53

전년동기比 작년 4분기 2.7%↓ 올해 1분기 2.5%↓
관세품목 철강 17.8%↓ 알루미늄 7.6%↓ 동반감소
1분기 전체 0.7% 소폭증가, 화장품·전력용기기 견인
정부 “3월부터 관세영향 본격화, 지원·모니터링 강화”

중소기업 대미(對美) 수출 분기별 동향

중소기업 대미(對美) 수출 분기별 동향

▲자료=중소벤처기업부

올해 1분기 중소기업 수출이 전년 동기대비 0.7% 늘어난 가운데, 지난 3월 철강·알루미늄 품목에 대한 관세조치가 본격화된 대미(對美) 수출은 2.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2025년도 1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대미 수출액은 44억80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 부과 영향을 받은 일부 품목의 대미 수출액은 감소했지만, K-뷰티의 인기가 지속됨에 따라 화장품 수출액은 역대 1분기 최고 실적을 찍었다.


중기부 자료로 살펴보면, 지난 3월 미국의 25% 관세 부과의 직격탄을 맞은 철강과 알루미늄(이상 파생상품 포함)의 1분기 대미 수출액은 각각 17.8%, 7.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글로벌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에 따른 이차전지 관련 장비 수요 둔화로 기타기계류와 전자응용기기 수출이 나란히 47.4%, 25.6% 급감했다.



반면에, 화장품의 1분기 대미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0.8% 늘었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건설에 따른 변압기 수요 확대로 전력용기기 수출도 32.7% 증가했다.


중기부는 1분기 대미 수출액 감소를 관세의 절대 영향으로 규정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분석했다.




즉, 철강·알루미늄 제품의 25% 관세는 지난 3월 12일 발효돼 1분기에 전부 반영됐다고 보기 어려운데다, 월별 대미 수출액 동향을 살펴보면 직전 3월 대미 수출액은 오히려 늘어났다는 점에서다. 분기 기준 대미 수출액 증감율(전년동기대비)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도 지난해 4분기부터라고 부연설명했다.


그럼에도 중기부는 철강·알루미늄 제품의 관세에 더해 지난 4월부터 상호관세 및 자동차 관세가 부과된 만큼 2분기 이후 대미 수출액 동향을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한다는 방침이다.


이순배 글로벌성장정책관은 “지난 3월부터 미국 관세 조치가 본격화되고 있는 만큼 중소기업 관세 영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중소기업 관세 대응을 위한 추가지원 방안을 조속히 추진해 올해 수출 호조세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총력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정희순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