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굳건해진 ‘NK’…신작이 하반기 성패 가른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5.14 15:52

넥슨·크래프톤·넷마블 ‘고공행진’…신·구 흥행 쌍끌이

엔씨 흑전·카겜 적전… 대작 출시로 하반기 반등 노려

ㅁㅁ

▲지난해 11월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린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 2024'에 참석한 게임 이용자들이 게임사 부스에서 신작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이태민 기자

국내 게임업계의 올해 1분기 실적 희비가 신작 효과에 엇갈렸다. 넥슨·크래프톤(N·K) 선두 체제가 한층 굳건해진 가운데 엔씨·카카오게임즈의 부진이 길어지는 모습이다. 이들은 신·구 지식재산(IP) 조합 전략을 강화해 하반기 반등을 꾀한다는 전략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게임사들의 올해 1분기 실적발표가 대부분 마무리됐다. 넥슨·크래프톤이 기존 인기작·신작 쌍끌이 흥행에 힘입어 높은 실적을 거둔 가운데 넷마블도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반면 엔씨소프트·카카오게임즈·네오위즈는 신작 부재기가 장기화하며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중견 게임사의 경우 '야구 게임 명가' 컴투스가 국내 프로야구(KBO) 흥행세에 힘입어 호실적을 냈다. 펄어비스는 신작 '붉은사막' 출시 지연으로 적자전환했고, 위메이드는 지난해보다 적자폭을 줄이는데 그쳤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공시 자료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넥슨은 매출 1조820억원·영업익 395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 43% 증가했다. 대표 IP인 던전 앤 파이터와 메이플스토리의 PC 버전 지표가 개선된 게 주효했다. 여기에 지난 3월 출시한 마비노기 모바일·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흥행 성과가 겹쳐지며 영업익이 껑충 뛰었다.


크래프톤 또한 핵심 IP인 펍지(PUBG): 배틀그라운드(배그) 흥행에 신작 인조이 효과가 더해지면서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매출 8742억원·영업익 4573억원으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갈아치웠다. 이는 각각 31.3%, 47.3% 늘어난 규모다.




같은 기간 넷마블의 영업익은 497억원으로 1243% 증가,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지난해 출시한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의 일간활성이용자수(DAU)가 꾸준히 증가한 가운데 최근 출시한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RF 온라인 넥스트'가 흥행에 성공하며 매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


컴투스는 국내외 프로야구 개막 시즌 전후로 '프로야구 2025' 등 주요 게임 라인업이 인기를 얻으며 실적을 견인했다. 매출 1680억원·영업익 17억원으로 각각 6.5%·44.3% 오른 가운데 스포츠 게임 장르 매출은 전년 대비 21.3% 성장했다.


반면 신작 부재가 장기화한 게임사는 부진을 면치 못했다. 엔씨는 매출 3603억원·영업익 52억원을 거뒀다. 흑자전환에는 성공했지만, 지난해보다 각각 9%, 80% 감소한 수치다. '리니지 시리즈' 등 기존 게임 매출 감소에 '저니 오브 모나크' 이용자 이탈이 겹친 데 따른 것이다.


카카오게임즈 또한 장기 서비스 타이틀 매출 감소와 신작 성과 부재 여파에 매출 1229억원·영업손실 124억원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했다. 주요작인 '오딘: 발할라 라이징'이 추가 손실을 막는 데 그쳤다.


네오위즈의 경우 인기작 'P의 거짓'과 '브라운더스트2'가 꾸준한 판매량을 기록하며 실적(매출 890억원·영업익 102억원)을 유지하는 데 그쳤다. 다만 신작 부재로 인해 각각 8%, 31% 급감했다.


1분기 다소 부진한 성적을 거둔 게임사들은 기존 IP를 재정비하는 한편, 신작을 속속 선보임으로써 하반기 반등을 노린다는 전략이다. 엔씨는 하반기 MMORPG 대작 '아이온2'를 앞세워 내년 매출 목표치를 최소 2조원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엔씨가 실적 추정치를 제시한 건 12년 만인데, 신작 성과에 따라 2조5000억원까지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카카오게임즈 또한 크로노 오디세이·아키에이지 크로니클 등 대작을 속속 선보일 계획이다. 현재 출시를 앞두고 완성도 확보를 위한 막바지 작업을 진행 중이다. 자회사 오션드라이브 스튜디오가 개발한 신작 게임들과 픽셀트라이브의 '가디스오더' 등도 연내 출시를 앞두고 있다. 업계에선 하반기 출시되는 신작들의 흥행 지표가 올해 매출 당락을 결정지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태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