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리밍·AI에 소셜플레이션까지?…늘어나는 구독에 허리 휜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5.17 15:00
구독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남자

▲구독 상품 구매가 늘며 부담스러워하는 소비자를 챗GPT가 형상화한 모습. 사진=챗GPT

구독경제 모델이 소비시장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인플레이션 현상이 심화하면서 소비자 부담이 커지고 있다. 생활물가가 전반적으로 인상한 가운데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 콘텐츠에 이어 인공지능(AI), 독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디지털 서비스 영역이 유료화 대열에 합류하면서다.




韓 이용자, 연간 50만원 디지털 소비에 지출…구독 영역 확대 영향

ㅎㅎ

▲넷플릭스가 최근 광고형 스탠다드·베이식 요금제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16일 구독 번들링·결제 전문업체 방고(Bango)의 '구독 전쟁 2024'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소비자는 평균 3.4개의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며 매월 약 4만원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단위로 환산하면 약 50만원을 디지털 소비에 지출한 셈이다.


넷플릭스는 최근 광고요금제 가격을 월 5500원에서 7000원으로 약 27%가량 인상했다. 베이식 상품은 월 9500원에서 1만2000원으로 26.3% 올렸다. 국내에서 이들 상품의 가격을 인상한 건 출시 이후 처음이다.



디즈니+, 유튜브 프리미엄, 티빙, 웨이브 등 다른 기업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이들의 요금제 가격을 살펴보면 대체로 9900원에서 1만7000원 사이로 형성됐다. 고가 요금제를 선택할 수록 화질 향상 및 계정 공유 인원·혜택 등이 늘어나는 구조지만, 광고요금제(월 5500원)를 제외하곤 낮은 가격은 아니라는 평가다.


업무 영역에서의 이용 빈도가 늘고 있는 AI 서비스도 유료 구독 비즈니스 모델(BM)을 채택하고 있다. KB국민카드가 최근 10개 구독서비스의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생성형 AI 서비스의 이용 건수가 2023년 대비 299% 급증해 가장 높은 성장율을 기록했다.




챗GPT의 유료 서비스인 '챗GPT 플러스'는 월 2만9000원으로, 무료 모델 대비 답변 정확도와 이미지·영상 생성 한도가 늘어난다. '제미나이 어드밴스드'는 같은 가격에 딥리서치를 활용한 보고서 작성, 최대 1500장 이상의 자료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퍼플렉시티 프로의 1년 구독료는 약 29만원인데, 무료 버전보다 더 좋은 생성형 AI 모델을 적용해 답변 추론 과정을 보여주는 게 특징이다.


여기에 SNS도 유료 구독 서비스를 속속 선보이면서 이른바 '소셜플레이션'까지 더해질 전망이다. 블루스카이는 최근 프리미엄 구독 서비스 '블루스카이 플러스' 출시 계획을 밝혔다. 고품질 동영상 업로드, 색상·아바타 프레임과 같은 프로필 사용자 지정 등 기능이 포함돼 있다.


하이퍼커넥트의 글로벌 영상 채팅 플랫폼 아자르도 최근 플러스·프리미엄·수프림 등 구독 서비스를 선보였다. 매칭 상대의 성별이나 국가를 선택하는 필터링 서비스, 매칭 중 만난 상대와 깊은 대화를 나누기 위한 비디오 콜 추가로 걸기 등 기능이 있다.


이미 여러 개 구독하는데 또 추가…전문가 “패턴에 맞게 지출 범위 설계"

ㄴㄴ

▲이용자가 AI에게 구독료를 지불하는 모습을 챗GPT로 형상화한 이미지. 사진=챗GPT

물론 가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없지는 않다. 넷플릭스 등 OTT 서비스의 경우, 네이버 멤버십 제휴 상품이나 통신사 결합상품은 인상 대열에 오르지 않아 이들을 적절히 활용하면 가격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일례로 네이버 멤버십에 가입하면 넷플릭스 서비스를 월 4900원에 이용할 수 있다.


통신업계가 OTT와의 구독 결합 상품을 늘리는 추세라면, 카드업계는 AI 구독 할인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첫 정기구독 결제 시 사이버 머니를 적립해 주거나 네이버페이 쿠폰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일례로 하나카드는 해외 AI 플랫폼을 구독 결제하면 5달러를 지급하며, BC카드는 이달 말까지 퍼플렉시티 프로 1년 무료 이용권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문제는 여러 개의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운데 추가 결제가 불가피한 상품이 늘어간다는 것이다. 실제 서울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95.9%는 하나 이상의 구독 서비스를 이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OTT 이용률이 90.1%로 가장 높았다. 쇼핑멤버십(83.8%), 음악스트리밍(73.4%)이 뒤를 이었다.


월 2만9000원대 AI 서비스 1개에 유튜브 프리미엄(월 1만4900원), 넷플릭스 광고요금제(5500원)를 모두 구독한다고 가정하면 월 최소 5만원가량이 구독 비용으로 지출되는 셈이다. AI 서비스 구독을 추가하거나, 독서 플랫폼 등 구독 영역이 늘어나면 요금도 동반상승하는 구조다. 결합상품의 경우, 구독권 원가가 상승하면 함께 인상되는 구조로 향후 가격을 인상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일각에선 구독 서비스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지만, 전문가들은 소비자 스스로 소비 패턴과 사용 빈도 등을 분석해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게 중요하다고 권한다. 자신의 업무 특성에 부합한 AI 서비스나 장기 구독 요인이 충분한 OTT 서비스 등 자신의 생활 패턴과 잘 맞는 서비스 중 핵심 상품 위주로 구독 체계를 갖추라는 취지다.


한편 공정위는 다음달까지 OTT·독서·AI 등 구독서비스 분야 사업자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시행할 방침이다. △사업 일반현황 △고객센터 운영 현황 △계약 체결·갱신 시 정보제공 현황 △청약철회·일반해지·중도해지 정책 현황 등을 살펴본다는 방침이다.



이태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