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th, 에너지가 미래다] 은행권, K-택소노미 타고 녹색금융 ‘가속페달’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5.25 16:11

신보-은행권, K-택소노미 평가 협약
K-택소노미 적합 여신 금리 우대 혜택

전담 조직·채권 발행·탄소 감축 등
은행별 기후금융 대응 활동 활발

녹색금융.

▲국내 은행권은 지난 2월 신보와 K-택소노미 적합성 평가 지원 업무협약을 맺었다. K-택소노미는 환경부가 녹색경제활동의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2021년 제정한 것이다. (사진=픽사베이)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에 발맞춰 은행권도 녹색금융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 초에는 신용보증기금과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택소노미)' 평가 지원 협약을 맺고 녹색금융 활성화에 힘을 더했다.




또 ESG(환경·사회·거버넌스) 전담 조직 운영, 녹색채권 발행, 친환경 상품 출시, 탄소감축 노력 등으로 기후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25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IBK기업·NH농협·신한·우리·하나·IM뱅크 등 7개 은행은 지난 2월 신보와 K-택소노미 적합성 평가 지원 업무협약을 맺었다. K-택소노미는 환경부가 녹색경제활동의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2021년 제정한 것이다.



이에 따라 신보는 K-택소노미 판단 시스템을 구축해 은행 보증부대출금이 K-택소노미에 적합한지 판단하고, 적합한 경우 협약은행에 '녹색여신 인증서'를 제공한다. 인증서를 받은 은행은 해당 대출을 녹색여신으로 분류하고 최대 2%포인트(p)의 금리 감면 혜택을 준다.


이번 협약은 탄소중립을 위한 자금 공급을 실질적인 인센티브와 연계해 녹색여신 확산을 유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적합성 평가지언 협력체계도.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적합성 평가지언 협력체계도. (사진=신용보증기금)

각 은행들의 녹색금융 강화 노력도 지속되고 있다. 먼저 하나은행은 2023년 9월 국내 금융권 최초로 'K-택소노미 반영 ESG 금융 심사 시스템'을 구축했다. 기업금융 또는 직접투자 시 ESG 금융 검토가 필요한 대상을 자동으로 판별하고, K-택소노미 적합성과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모니터링 결과 등을 금융 지원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방식이다.


또 삼성전자 협력 기업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감축 ESG 관련 시설과 기술 투자 자금을 대출할 경우 이자를 지원한다. 일반 중소기업에도 저탄소 전환 관련 대출에 우대금리를 주고, K-택소노미에 부합하면 추가 감면 금리도 적용한다.


올해는 그룹 차원에서 '녹색금융협의체'를 운영할 계획이며, 금융당국의 녹색여신 관리지침에 맞춰 내규를 정비할 예정이다.


신한은행은 작년 5월 'K-택소노미 기반 기업대출 프로세스'를 도입했다. 영업점에서 기업이 저탄소·녹색 전환을 위한 10억원 이상 기업대출을 신청하면 본점 ESG 부서에서 K-택소노미에 따른 4가지 적합성 판단 기준(활동·인정·배제·보호)을 적용해 별도의 심사를 진행한다. 적합성을 충족하면 금리 우대 등 혜택을 준다.


2022년에는 국내 처음으로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했다. 이후 매년 환경부 주관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이차보전 지원사업'에 참여하며 중소기업 녹색대출을 지원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ESG 여신을 본격화하기 위해 ESG 전담 조직과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했고, 금융배출량 측정, ESG 금융상품 확대 등에 나서고 있다.


여신 상품 출시 전 ESG 전담 부서에서 ESG 적합성을 점검하고, 영업점에서 녹색여신을 취급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ESG기획부 내 전담 인력이 전문적으로 심사한다. 영업조직에는 성과평가(KPI)에 인센티브를 부여해 녹색금융 저변 확대에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중소기업 저탄소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금융감독원과 업무협약을 맺고 2000억원 한도로 'ESG혁신기업대출' 전용 상품을 운영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ESG 실무추진협의회를 운영하며 ESG 신상품 출시와 상품성 개선 등 논의를 확대하고 있다. 친환경 대출 상품 'KB 그린 웨이브(Green Wave) ESG 우수기업대출'의 경우 자체 컨설팅이나 환경성 평가 우수 기업 등을 활용하며 대출 가입 대상을 확대헤 운영 중이다.


또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구축 지원 사업을 확대하고 무공해 차량 전환을 추진하는 등 자체적인 탄소배출량 감축 활동도 강화하고 있다. ESG 자금 조달을 위해 녹색채권이나 지속가능채권 발행도 이어가고 있다.



송두리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