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재매각 한다고?...MG손해보험 121만 가입자 ‘불안 도미노’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7.01 18:12

당국·노조, 재매각 추진안 잠정합의
기존안 뒤집고 방향 선회...구체 일정은 없어

1분기말 기준 킥스 -18.2%, 새 주인 찾기 난항
금융소비자만 뒷전...가입자 피로감 극대화

MG손보

▲MG손해보험이 또다시 새 주인 찾기에 돌입한다.

사실상 청산을 향해가던 MG손해보험의 발걸음이 크게 요동치고 있다. 금융당국·예금보험공사·MG손해보험 노동조합이 재매각을 포함하는 잠정 합의를 도출한 영향이다. '이사'를 기다리고 있던 가입자 121만명도 다시금 불안감을 내비치고 있다.




1일 금융당국과 보험업계에 따르면 합의안은 우선 재매각에 나서고, 성사되지 않으면 가교보험사를 통해 MG손보의 모든 계약을 이전하는 기존 방안대로 진행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임직원 고용 승계를 비롯한 조건에 대해서도 다시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금융당국은 앞서 MG손보의 신규 영업을 중단하고, 내년까지 MG손보가 보유한 계약을 대형 손보사 5곳(삼성화재·DB손해보험·메리츠화재·KB손해보험·현대해상)으로 넘긴다는 방침을 발표한 바 있다.



한달여만에 금융당국이 입장을 바꾼 것은 기존 솔루션이 임직원 중 10~15%만 일자리 보존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노조가 단식투쟁을 단행한 것도 고용 보장이 충분치 않다는 이유였다.


그러나 가입자들은 안정적인 보험금 창구를 잃어버리는것 아니냐고 걱정하는 모양새다. 올 3월말 기준 MG손보의 신지급여력제도(K-ICS·킥스) 비율은 -18.2%로 집계됐다. 손해보험업계에서 킥스 비율이 마이너스인 곳은 MG손보가 유일하다. 생명보험사로 범위를 넓혀도 푸본현대생명이 경과조치 전 기준으로 -23.8%지만, 경과조치 후 기준으로는 145.5%다.




반면, 앞서 인수를 추진했던 메리츠화재는 238.9%에 달한다. MG손보 계약을 흡수해도 가입자들에게 보험금을 지급할 '곳간'이 충분했다는 의미다. 삼성화재와 DB손보 역시 200%를 상회했고, KB손보(182.2%)와 현대해상(159.4%)도 금융당국의 권고치를 웃돌았다.


가입자로서는 상대적으로 보험료가 낮거나 보장이 좋은 계약을 고스란히 이들 회사로 옮길 수 있는 기회였던 셈이다. 구체적인 타임테이블 없이 재매각이라는 명분으로 시간을 끄는 것을 좋게 보기 힘든 까닭이다.


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

매각 가능성도 높지 않다는 것이 중론이다. MG손보 기보유 계약 대부분이 장기보험상품인 탓에 '빅5'가 일부 계약을 받는 것에 대해서도 '킥스 비율을 표시할 때 MG손보 계약을 제외한 수치를 보이게 해야한다'는 등의 알레르기 반응을 보였는데 새로운 매수자를 찾는게 가능하냐는 논리다.


높은 손해율 등으로 인해 적자 탈출도 쉽지 않다. 지난해 보험손익과 투자손익은 각각 -595억원과 -204억원, 올 1분기도 -222억원과 -53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업손실(275억원)과 당기순손실(399억원)로도 이어지고 있다.


이번 사태가 시장경제 논리를 정치논리로 덮는 '스노우볼'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정부가 부실 금융기관을 정리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이면 견실한 기업들이 부실을 뒤집어쓰면서 2금융권을 비롯한 금융산업의 건전성을 해칠 수 있다는 것이다. 노동자 친화적인 정부라고 해도 소비자 보호를 최우선시하는 업의 본질을 훼손하면 안 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100만명이 넘는 금융소비자를 500명 규모의 종사자 권익을 위한 인질로 삼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가하고 있다. MG손보의 처우가 좋은 편이라는 평가가 나왔던 것도 이러한 목소리에 힘을 싣는 요인이다.


한 MG손보 가입자는 “(그간 여러차례 매각이 되지 않았는데) 원매수자가 있을지 의문"이라며 “데드라인도 없이 방향을 바꾸는건 소비자를 기망하는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나광호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