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ELS 발행액 10조원…홍콩 H지수 여진에도 투자 심리 일부 반등

▲파생결합증권 발행·상환·잔액 현황. 금융감독원
올해 1분기 국내 증권사들의 파생결합증권(ELS·DLS) 발행액이 전년 동기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하락과 해외 증시 반등에 따른 투자심리 회복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지난해 H지수 사태 이후 나타난 구조적 불안 요인과 운용 부담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3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1분기 중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현황'에 따르면, 전체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은 15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13조원) 대비 21.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상환액은 11조5000억원으로 6조2000억원 줄며, 전체 잔액은 84조6000억원으로 늘었다.
특히 주가연계증권(ELS)은 10조원어치 발행돼 전년보다 2조원(24.1%) 늘었다. 지수형 ELS가 5조3000억원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종목형도 4조2000억원으로 꾸준한 비중을 유지했다. 기초자산으로는 △코스피200(4.1조원) △S&P500(3.7조원) △유로스톡스50(3.4조원) 순으로 많았다.
H지수 사태 이후 위축됐던 투자심리가 회복 조짐을 보이자 증권가도 발행 확대에 나선 분위기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홍콩 H지수 기반 ELS의 만기 도래와 손절이 지난해 대거 해소되면서, 국내외 지수형 ELS에 대한 수요가 일부 돌아왔다"며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시장 복귀 성향이 뚜렷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운용 부담은 여전히 크다는 평가다. 같은 기간 Knock-In 발생 잔액(설정 구간을 벗어난 손실액)은 3515억원으로 크게 줄었지만, 운용 현장에서는 금리 민감도와 자체헤지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여전하다.
금융감독원은 “ELS 자체헤지(직접금융 등을 통해 장내외파생상품을 거래해 리스크 제거) 비중은 81.6%로 전년 대비 증가했으나, 외국계 금융사에 대한 백투백(장외파생거래를 통해 리스크를 거래상대방에 이전) 거래 의존도도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DLS(기타연계증권) 발행도 같은 기간 5조9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5.0조원보다 18% 늘었다. 금리형 기초자산이 4조5000억원으로 전체의 75.8%를 차지했다. DLS의 경우 상환액(4.1조원)도 작년보다 늘며 전체 잔액은 31조5000억원으로 증가했다.
이와 관련해 또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올해 들어 금리형 DLS 중심으로 기관 주문이 다시 들어오고 있다"며 “다만 환율 변동성이 커진 만큼 헤지 운용 전략에는 보수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실제로 증권사들의 운용 손익은 크게 개선됐다. 올 1분기 파생결합증권 관련 손익은 2260억원으로 전년 동기(465억원) 대비 4배 이상 증가했다. 투자자 입장에서도 ELS의 연 환산 수익률은 5.7%, DLS는 4.6%로 모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금리 하락과 함께 ELS 투자수요가 일부 회복되며 발행액이 전년보다 증가했다"면서도 “글로벌 증시의 변동성이 확대된 만큼 투자자 손실 가능성에 대한 모니터링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H지수 사태 이후 원금지급형 구조의 파생결합사채 발행이 늘고 있지만, 해당 상품은 발행사의 신용도에 따라 원금이 지급되지 않을 수 있어 투자자들이 반드시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