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미국 달러화를 들어 보이는 모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방위 관세 위협 속에서 미 달러화 가치가 지난 2월 이후 최고의 주간 상승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블룸버그 현물 달러지수'는 이번 한 주간 0.73%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월 마지막 주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이며, 같은 기간 달러 대비 일본 엔화 환율과 영국 파운드화 환율이 주요10개국(G10) 중 가장 많이 올랐다고(엔화·파운드화 약세) 블룸버그는 전했다.
미국 달러는 3월부터 본격 꺾이기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와 유예 등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보인 것이 불확실성을 증폭시키고 미국 정부에 대한 신뢰감을 꺾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국제신용평가회사 무디스가 국가 부채 문제로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강등한 것이 '셀 아메리카'(미국 자산 매도)를 부추겼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에도 글로벌 관세 전쟁의 전선을 확대하고 있다. 그는 지난 10일 NBC 방송과 인터뷰에서 “나머지 모든 국가에 15%든 20%든 관세를 부과할 것이고 우리는 지금 그 비율을 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후 자신의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앞으로 보내는 서한을 공개, 8월 1일부터 캐나다가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에 35%의 관세를 부과받게 된다고 밝혔다. 유럽연합(EU)도 조만간 관세 서한을 받을 예정이다.
구리에 대한 50% 관세 또한 오는 8월 1일부터 발효될 예정이고 의약품 및 반도체 관세도 곧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각종 관세 위협에도 미 노동시장 등 경제가 여전히 견고한 모습을 이어가는 데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하 필요성에 신중론을 이어가는 것이 달러 강세를 지지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최근 공개된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을 보면 연준 위원 19명 중 금리 인하에 대한 지지 폭은 매우 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미국 달러가 빠른 속도로 하락한 만큼 최근 상승은 기술적 반등에 불과해 중장기적으로 달러가 다시 약세로 전환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페퍼스톤의 마이클 브라운 시장 분석가는 “중장기에 달러가 느리지만 안정적인 속도로 약세를 보이는 것이 기본 시나리오"라며 “하지만 빠른 속도로 크게 하락했기 때문에 반등할 여지가 있고, 달러에 대한 숏 스퀴즈(공대도 청산)가 나올 경우 더욱 그렇다"고 로이터에 말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JP모건의 미라 찬단 등 전략가는 “달러에 대한 약세론이 다소 완화됐다는 일부 신호들을 목격하고 있지만 중기적으로 이는 중요하지 않다"며 관세와 정책 불확실성을 이유로 달러가 특히 유로화, 엔화, 스위스 프랑화 대비 약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이날 새벽 2시 원/달러 환율은 전장 서울환시 종가 대비 5.80원 상승한 1375.8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번 장 주간 거래(9시~3시 반) 종가 1375.40원 대비로는 0.40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