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500·나스닥은 신고가…서학개미 1위 테슬라는 올해 21% 급락

▲테슬라 로고(사진=로이터/연합)
뉴욕증시 주요 지수들이 연일 신고가를 갈아치우고 있지만 해외 주식 보관액 1위 테슬라 주가 하락세가 이어지자 서학개미들의 곡소리가 커지고 있다.
25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47% 오른 4만4901.9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0.40% 오른 6388.6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0.24% 오른 2만1108.32에 각각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이날 상승으로 이번 주 들어 5거래일 연속 종전 최고치를 경신했고, 나스닥 지수는 3거래일 연속 최고치 기록을 갈아치웠다.
그러나 국내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보유한 테슬라 주가는 올들어 21% 가량 폭락했다. 특히 전날엔 2분기 어닝 쇼크로 주가가 8% 넘게 급락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가 가장 많이 보관하고 있는 해외 주식은 테슬라로, 금액은 지난 24일 기준 199억8680만4409달러(27조6717억원)에 달한다. 2위인 엔비디아(148억8110만6736달러)와의 격차도 크다.
또 올 들어 지난 25일까지 해외 주식 순매수 결제 1위는 테슬라 2배 레버리지 상품인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불 X2'(TSLL)로 나타났고 테슬라 주식이 2위로 집계됐다.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정치 행보와 각종 논란에 어닝 쇼크까지 잇따르자 주가도 흘러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그간 머스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재선에서 '킹 메이커' 역할을 하며 정부 구조조정 책임자로 임명되기도 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어젠다를 담은 감세 법안에 반대하면서 결별 수순을 밟았다.
최근에는 신당 창당 선언을 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제프리 엡스타인 파일을 처리한 방식에 대한 비판의 글을 쏟아내며 각을 점점 더 날카롭게 세우고 있다.
여기에 지난 23일(현지시간) 발표한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4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튿날 머스크가 미국 행정부의 전기차 구매 보조금 폐지 등으로 테슬라가 한동안 힘든 시기를 보낼 수 있다는 발언을 하자 투자심리가 위축됐다.
월가에서 테슬라 주가 전망에 대한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
투자전문매체 배런스는 시장조사 기업 팩트셋 자료를 인용해 테슬라를 담당하는 애널리스트 중 44%가 매수 의견을 제시했고 평균 목표가는 316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이날 테슬라 종가와 동일하다.
인베스팅닷컴은 “애널리스트들의 목표주가 범위는 115달러에서 500달러에 이르는 등 시장 심리가 혼재됐다"고 전했다.
테슬라 강세론자인 웨드부시증권 애널리스트 댄 아이브스는 이번 실적이 “견고했다"며 “자율주행이 테슬라에 1조달러 기회를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목표주가를 500달러로 제시했다.
바이애드의 벤 칼로 애널리스트는 목표주가 320달러, 투자의견 보유를 내놨고 캔터피츠제럴드의 안드레스 셰퍼드 애널리스트는 목표주가 355달러, 투자의견 매수를 제시했다고 배런스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