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메모리 매출 세계 1위…삼성전자 첫 추월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7.31 18:29

글로벌시장조사 2분기 21.8조 집계…삼성보다 6천억 많아
HBM 기술력 등 메모리 리더십 전략 주력 결과 ‘매출 견인’
“삼성, HBM3E 엔비디아 통과 중요…테슬라와 계약 주목”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생산라인 모습. 사진=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추월해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매출 1위에 올라섰다. 당초 두 회사가 공동 1위를 차지할 것이라는 시장조사의 전망과 달리 실제 실적 집계에서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에 앞선 것으로 드러났다.




31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D램과 낸드를 포함한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의 2분기 매출액 21조 8000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의 메모리 반도체 매출액은 21조 2000억원으로 SK하이닉스보다 6000억원 뒤지는 실적을 나타냈다.



앞서 이달 초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 잠정 데이터에 따르면 2분기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매출 순위에서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는 나란히 공동 1위에 올랐다. 그러나, 막상 두 회사가 발표한 2분기 실적 공시에서 SK하이닉스가 6000억원 더 많이 벌어들인 것으로 확인되면서 처음으로 1위 자리를 차지하는 영예를 누렸다.


SK하이닉스의 메모리 매출 활약은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에서 주도권이 매출 1위로 이끈 동력으로 풀이됐다.




지난 2023년 1분기 당시만 해도 3조 4000억원의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던 SK하이닉스는 이후 생산 효율 개선과 기술 중심 전략을 강화한 결과, HBM 리더십을 구축하고 실적 반등으로 연결시키는데 성공한 결과가 메모리 반도체 글로벌 정상으로 귀결됐다는 설명이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삼성전자의 매출 순위 하락 원인으로 미국의 대(對)중국 수출 규제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위축, HBM 제품 신뢰 확보 지연 등을 꼽았다.


따라서, 삼성전자가 점유율을 만회하려면 HBM3E의 공급망 다각화와 AI반도체 핵심 수요처인 엔비디아의 품질 테스트 통과가 해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런 점에서 지난 28일 삼성전자가 공시한 테슬라에 22조 7000억원대 차세대 인공지능(AI)6 칩의 파운드리(위탁생산) 수주가 향후 메모리 반도체 시장 순위 변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주목했다.



김윤호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