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김경일 파주시장 “교육발전특구 목표는 청년 정주”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8.03 11:29
김경일 파주시장

▲김경일 파주시장. 제공=파주시

파주=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파주시는 작년 7월 교육부 주관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지정된 뒤 복합적인 교육 수요에 대응하는 파주형 정책을 추진하며 지속가능한 교육 기반 조성을 위한 밑그림을 구체화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는 지역교육을 혁신하고 파주 미래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다양한 시범사업에서 실질적 진전이 나타나고 있다.




어린이집-유치원-초등학교를 연계한 유보통합 선도모델인 '파아랑학교'가 올해 상반기 시범운영에 들어갔고, 교하도서관을 리모델링한 책문화 특화 늘봄거점센터가 내달 개관한다. 파주형 통학순환버스 파프리카는 교육부 우수사례로 선정돼 장관상을 수상했다.


여기에 과대-과소 학교 특색교육과정 운영에도 시동이 걸렸고, 국제바칼로레아(IB) 학교 후보 및 관심 학교로 지정된 23개 학교를 육성하기 위한 지원도 확대하고 있다.



김경일 파주시장은 3일 “시범지역 지정 이후 파주 교육환경 개선에 적잖은 진전이 나타나고 있다"며 “교육과 지역산업, 문화, 주거환경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청년이 머물 수 있는 지속가능한 발전 토대를 쌓아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 유보통합 선도모델 파아랑학교-늘봄거점센터 운영

국제바칼로레아(IB) 학교 후보 파주광일중학교

▲국제바칼로레아(IB) 학교 후보 파주광일중학교. 제공=파주시

'평생 살고 싶은 조화로운 도시, 파주, 평화파주'를 슬로건으로 내건 파주형 교육발전특구는 △일상 속 밀착 돌봄으로 삶이 행복한 가족도시 △경계 없는 담대한 교육혁신으로 미래를 꿈꾸는 교육도시 △지-산-학 연계로 지역사업을 선도해 시민과 성장하는 자족도시 등 3가지 비전 실현을 좌표로 설정했다.




특히 인구 30% 이상이 3040 세대로 이뤄진 파주시는 자녀 양육, 돌봄, 교육의 질을 정주 여건 제1순위로 손꼽는 이들이 많다.


이런 욕구를 반영해 파주시는 파아랑학교를 운영한다. 어린이집, 유치원 원아는 물론 초등학교 저학년까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시설에서 방과후 교육과정을 받을 수 있도록 한 전국 최초 시도다. 올해 상반기부터 관내 유치원 3곳에서 시범운영에 들어갔다.


책문화 특화 늘봄거점센터도 내달 개관한다. 늘봄거점센터는 지방정부와 교육지원청이 협력해 지역 수요와 특색을 반영한 맞춤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과후 돌봄 시설이다. 관내 출판문화산업단지를 감안해 지역 특화교육 주제로 삼았다.


파주시는 관내에서 다문화가정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광탄면 소재 신산초등학교에는 다문화 특화 늘봄거점센터를 조성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도 △육아종합지원센터 건립 △국민안전체험관 건립 △달빛어린이병원 확대 △공공산부인과 개설 등 지역자원과 연계한 돌봄-교육-보건 인프라 확충에 주력하고 있다. 양육과 돌봄 부담을 줄이고 '양육친화도시'를 실현해 정주 여건을 한층 더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 '시선 집중' 파프리카, 과대-과소학교 특색교육, IB학교

2024년 파주시 고등학교 동아리 창업경진대회 현장

▲2024년 파주시 고등학교 동아리 창업경진대회 현장. 제공=파주시

파주시는 평화경제특구-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 등을 뒷받침할 지역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모빌리티 체험교육 프로그램 운영 △창업체험교육 거점센터-거점학교 지정 △창업동아리, 창업경진대회 개최 등을 구상 중이다.


또한 두원공과대학교-서영대학교 등 지역 대학과 긴밀한 협력 아래 '고교-대학 연계 기반산업 맞춤인력 양성 지원사업'을 추진해 사회복지, 뷰티, 조리, 모빌리티, 유튜브 등 다양한 분야 실습-체험 기회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작년 도입한 파주형 학생전용통학순환버스 '파프리카'는 교통소외지역 학생의 통학권을 보장하고, 지역 간 교육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교육혁신으로 크게 주목받았고, 올해 교육부장관상 수상이란 성과를 거뒀다. 파주시는 파프리카 노선 이외 지역 중 등교 여건이 열악한 28개교에 맞춤형 통학 차량을 확대 지원하고 있다.


2025년 파주시 고교-대학 연계 인력양성 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 현장

▲2025년 파주시 고교-대학 연계 인력양성 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 현장. 제공=파주시

공교육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파주시는 △과대-과소 학교 특색교육과정 운영 △청소년수련관 활용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제공 △IB 학교 육성 등 다양한 방안을 마련했다.


특히 IB 학교의 경우, 현재 6개 학교가 후보학교로, 17개 학교가 관심학교로 지정돼 있으며, 향후 '월드스쿨' 인증을 목표로 교육체계를 새롭게 정비 중이다.


◆ 지-산-학 연계로 지속가능 교육발전 기반 구축-강화

파주시 교육발전특구 지역협력체 발족

▲파주시 교육발전특구 지역협력체 발족. 제공=파주시

파주시는 단기적 성과 달성은 물론 지속가능한 교육생태계 구축을 위한 대외 협력체계 강화에도 힘쓰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파주교육지원청과 유기적인 협력을 바탕으로 늘봄학교 지원체계 확립을 위해 파주교육지원청, 파주시니어클럽, 파주시작은도서관협의회와 협약을 체결했다.


지역 대학, 파주상공회의소, 산업단지협의회 등과 협약을 통해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내 지역인재 양성과 지역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한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지-산-학 연계 기반을 넓혀가며 교육 현장 수요와 정책 간 간극을 좁히고 있다.


또한 작년 6099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교육발전특구 설문조사와 함께 학부모-전문가-학교-산업체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맞춤형 교육모델을 공동 설계하고 있다.


이런 전략은 지역사회와 함께 만들어 가는 교육환경을 조성해 교육 프로그램 다양화와 질적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파주시는 기대했다.



강근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