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정] 온라인 스타트, 여성선수 입상 ‘유리’…왜?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8.06 14:17

하남=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경정은 출발에서부터 순위 향방이 결정적으로 갈리는 경우가 많다. '출발이 반'이란 격언이 딱 들어맞는 스포츠가 경정인 셈이다. 그렇다면 경정 스타트는 어떤 방식이 있을까?




◆ 대기 항주에서 출발, 플라잉 스타트

대기 항주에서 자리 잡은 뒤 출발하는 플라잉 스타트

▲대기 항주에서 자리 잡은 뒤 출발하는 플라잉 스타트. 제공=국민체육진흥공단

우선 플라잉 스타트는 경정이 시작된 2002년부터 시행한 제도다. 선수들이 대기 항주에서 자리를 잡은 후 출발신호와 함께 출발하는 방식이다. 출발이 빠르면 치열한 1턴 주도권 싸움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경정선수들이 주의할 점이 있는데 바로 사전 출발(플라잉)과 출발 지체(레이트)라는 출발 위반 제도다.



먼저 플라잉은 출발신호가 떨어진 후 0∼1.0초 이내 출발선을 통과해야 하는데 0초 이전에 출발선을 통과하는 것이다. 반변 레이트는 출발신호가 떨어진 후 1.0초 이내에 출발선을 통과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출발 위반을 범하면 해당 선수는 실격 처리돼 순위에서 제외된다. 또한 해당 선수가 포함된 승자투표권은 모두 환불된다. 선수도 출발 위반에 신경이 곤두설 수밖에 없다. 출전 정지, 차기 등급 심사에서 B2 강급 등 제재가 뒤따르기 때문이다.




플라잉 스타트 방식 강점은 모터 기력이 다소 저조해도 타 선수를 압도하는 스타트 능력을 겸비한 선수라면, 1턴 주도권 경합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어 본인 생각대로 경주를 풀어나갈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 스타트 능력이 좋은 선수로 평가받는 선수로는 심상철(7기), 김완석(10기), 김응선(11기), 조성인(12기) 등이 있다. 이들 선수는 평범한 모터를 배정받아 출전해도 타 선수를 압도하는 스타트 능력 갖췄다.


◆ 계류장에서 동시 출발, 온라인 스타트

계류장에서 동시에 출발하는 온라인 스타트

▲계류장에서 동시에 출발하는 온라인 스타트. 제공=국민체육진흥공단

현재 15∼17경주에서 열리고 있는 온라인 스타트는 지난 2016년부터 시작된 경주 방식이다. 기존 플라잉 스타트 방식이 다른 선수보다 유리한 위치에서 경주를 펼치기 위해 다소 무리한 스타트 승부를 하다 보니 플라잉이 발생해 경주 흥미가 반감되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온라인 스타트는 6정의 보트가 계류장에서 출발신호(녹색등 점등)와 함께 동시에 출발한다. 이 경주 방식은 플라잉 스타트와 다르게 출발 능력보다는 모터 기력과 선수 개개인의 반응 속도가 승패를 좌우한다.


특히 모터 기력이 순위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적중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선수 기량보다 모터 기력과 코스를 중점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온라인 스타트에서 모터 기력이 엇비슷하다면 체중이 적게 나가는 선수가 유리해 여자 선수들이 입상에 성공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3주간 기록을 살펴보더라도, 손유정(16기, B1), 김미연(17기, B2), 신현경(9기, B1), 이수빈(16기, B1) 등 중-하위권 여성 선수들이 온라인 스타트 경주에서 입상에 성공했다.


이서범 경정코리아 경기분석 위원은 “불꽃 튀는 스타트 경합 속에 노련한 1턴 선회를 선보이는 플라잉 경주, 모터 기력과 선수 피트력(반응 속도)을 잘 살펴 안정적인 경주분석을 할 수 있는 온라인 경주 모두 저만의 매력이 있다"고 말했다.



강근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